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4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 3차 대유행을 맞아 병상과 치료인력 부족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틈을 타 지난 9월 의사파업 당시 국가시험을 거부했던 의대생들에게 재응시 기회를 줘야 한다는 주장이 야권에서 제기되고 있다.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14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코로나 방역에 전적으로 투입돼야 할 인턴들 2천명 이상이 의사 국시를 다시 하지 않는 바람에 활용할 수 없게 된 사정이 있다”며 의료진 부족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생들에게 국가시험을 치를 수 있게 허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 원내대표는 이어 “대한의사협회가 파업했다고, 거기에 (동참한) 의대 4학년들이 시험을 치르지 않았다고 정부가 오기를 갖고 편을 가른 상황에서 피해를 보는 건 국민뿐”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김종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은 전날 당 ‘코로나19 대책 특별위원회 긴급회의’에 참석해 “
정부는 의사 국가시험 기회를 부여해 대형병원과 벽지, 무의촌, 군부대 등 일선 현장에 의료 공백을 줄여야 한다”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도 이날 “병상이 늘어도 의료 인력이 없으면 무용지물인데 의사들 뒤통수치고, 의사·간호사 갈라치기를 해 놓고, 의대생들 국가시험 못 봐서 당장 내년에 의사 공급이 급감하는데 어떻게 인력 확보를 할 생각이었나”라고 가세했다.
야당 지도부의 이런 발언은 최근 의료계의 집요한 재응시 허용 요구와 흐름을 같이 한다. 의료계는 최근 의사파업 당시 국가시험을 거부했던 의대생 일부가 수도권 임시진료소 등에서 자원봉사 활동을 나서고 있는 사실을 부각하며 정부의 ‘선처’를 호소한 바 있다. 그러나 정부로선 재응시 기회를 부여하는 것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부담이다. 이창준 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은 전날 복지부 브리핑에서 “의료 인력 공백과 시험을 거쳐야 하는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검토해야 할 사항”이라며 “아직 거기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확정되지 않았다는 말씀을 드리겠다”라며 말을 아꼈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