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당대표와 김태년 원내대표가 지난 1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11주기 사진전 개막식에서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낙연 새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협치의 카드로 상임위원장 재배분 카드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미래통합당에서도 이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배준영 통합당 대변인은 31일 <와이티엔>(YTN) 라디오에서 “원칙이라는 게 남에게는 비타협으로 보일 수 있으니 원칙보다는 협치 쪽에 무게중심이 있었으면 좋겠다”며 “법사위를 왜 전통적으로 야당한테 맡겼는지 잘 아실텐데, 견제와 균형의 원리가 충실한 그런 국회가 될 수 있도록 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기현 통합당 의원은 이날 <기독교방송>(CBS) 라디오에서 “이낙연 대표께서 법사위를 포함한 상임위원장 배분을 정상화시킨다면 그나마 정상적인 궤도를 앞으로 밟아갈 수 있는 전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박수영 의원도 페이스북에 “임기 시작과 동시에 법사위를 비롯한 7개 상임위원장을 야당에 돌려주는 ‘원칙’을 회복하는 ‘협치’로 진정성을 보여주시기 바란다”고 적었다.
전날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가 “이 대표께 거는 우리 야당의 기대가 작지 않다. ‘176석 정당’의 횡포를 이 정도에서 중단시켜 달라”며 “김대중 평민당 총재의 제안으로 1987년 체제 이후 지켜 온 ‘의장단-상임위원장단’ 구성의 원칙이 다 허물어졌다. 여당이 이왕 힘으로 깨부순 것, 그대로 방치하실 거냐, 원상회복 시킬 거냐”고 물은 뒤 상임위원장 재배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진 셈이다. 이낙연 대표 쪽도 상임위원장 재배분 카드는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통합당이 요구하는 ‘법사위원장’까지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민주당 원내 사령탑인 김태년 원내대표가 체계·자구심사권 폐지를 골자로 한 ‘일하는 국회법’을 통한 법사위 개혁을 강하게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21대 국회 원구성 협상이 결렬된 원인이었던 법사위원장을 둘러싼 대치 상황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 경우 법사위원장을 제외한 나머지 7개 상임위원장을 받을 것인지를 둘러싼 통합당 내부 갈등이 재연될 가능성도 있다. 상임위원장 직에서 한 발짝 떨어진 초·재선 그룹과 중진 그룹의 이해관계가 엇갈리기 때문이다. 통합당 관계자는 “민주당 독식 구도를 유지하는 게 맞다는 판단과 원내 협상을 위한 카드를 쥐기 위해서라도 상임위 배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엇갈릴 수 있다”고 말했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