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 참패의 후폭풍이 미래통합당 소속 의원 보좌진들에게도 거세게 몰아치고 있다. 21대 총선에서 통합당의 현역 의원 교체 비율은 63%에 달한다. 불출마·공천 탈락자까지 포함하면 물갈이 비율이 더 높아지면서 구직 활동에 뛰어드는 보좌진 규모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불출마한 의원실 소속 한 보좌관은 19일 <한겨레>에 “4년마다 매번 있던 풍경이지만 이번엔 정말 자리가 많지 않은 것 같다. 인맥을 동원해 대외협력 쪽까지 두루 알아보는 중”이고 말했다. 낙선한 한 의원실 보좌관도 “시간을 좀 갖고 자리를 찾아보려 한다. 전체적으로 일자리가 줄어 경쟁이 치열해질 것 같은 위기감이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 19대 총선에서 152석이던 통합당(당시 새누리당) 의석은 20대 총선에서 122석, 이번 21대 총선에서 103석(비례 정당인 미래한국당 포함)으로 줄었다. 의원 한명은 국회의원수당 등에 관한 법률 9조에 따라, 4급 보좌관 2명, 5급 비서관 2명, 6·7·8·9급 상당 비서 각 1명씩을 둘 수 있게 돼 있다.
2016년 새누리당 참패 뒤 한바탕 구직난을 겪었던 보수 진영은 이번 21대 총선 뒤 다시 불어닥친 ‘일자리 대란’에 할 말을 잃은 모습이다. 급수를 낮춰서 지원하거나, 아예 여의도를 떠날 결심을 하는 보좌진들도 다수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통합당 합당 과정에서 옛 새로운보수당 출신 당직자들이 통합당으로 합류하지 못하고 희망퇴직을 택하게 되면서 국회 의원회관 내 ‘일자리 경쟁’은 한층 더 치열해지고 있다. 21대 국회 개원까지는 한 달가량 남았지만 벌써 여의도 구직 시장 ‘찬바람’을 토로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이유다.
반면 180석(더불어민주당·더불어시민당)을 확보하게 된 여권에선 보좌진 구인난을 겪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20대 국회 의석수는 민주당이 120석, 더불어시민당이 8석이었지만 21대 총선을 거치면서 52석이나 늘었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