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오 미래통합당 공천관리위원장이 11일 국회에서 4·15 총선 공천 심사에 대한 생각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마무리 순서에 접어든 미래통합당 공천이 막판 진통을 겪고 있는 가운데 김형오 공천관리위원장이 11일 “결과가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문재인 정권을 심판하는 대의를 위해 동참해달라”며 공천 결과에 대한 승복을 호소했다. 앞서 컷오프(공천 배제)된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 권성동 의원 등이 공관위의 결정에 승복할 수 없다며 반발해왔다.
김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억울하다고 통곡하시는 분, 한 가닥 희망을 끊지 않고 재심을 청구하시는 분, 나보다 못한 인물이 공천받았다고 분노하시는 분, 당을 지키면서 문재인 정권에 맞서 싸운 대가가 고작 이거냐고 속상해하시는 분, 공관위가 이분들 심정을 다 헤아리지 못한 점 널리 이해해주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어 “무엇보다 불출마 결단한 의원 여러분께 다시 한번 감사드린다”라며 “묵묵히 할 도리를 다했겠지만 불가피하게 교체된 의원들에 대해서도 송구한 마음”이라고 덧붙였다.
공천 탈락자들의 무소속 출마 움직임에 대해 김 위원장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김 위원장은 “문재인 정권을 심판하기 위해 우리가 힘을 모아도 힘겨운 이런 상태에서 무소속으로 나가는 것은 문재인 정권을 위한, 여당 후보를 당선시키는 일밖에는 안 된다. 본인은 억울해도 그런 역할을 하지 말아야 한다. 무소속 나온 분들이 당선될 리도 없지만, 당락을 떠나서 다시는 당에서 받아주는 일이 없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공천 탈락자들 중심으로 나오는 ‘사천 논란’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김 위원장은 “나는 일주일 후면 시민으로 돌아갈 사람”이라며 “(이번) 공관위를 역대 어느 공관위보다 가장 민주적으로 운영했다. (사천 논란은) 택도 없는(어림없는) 소리”라고 일축했다.
김 위원장은 이번 통합당 공천에 대해 “당초 목표대로 ‘판 갈이’는 했다”고 자평했다. 김 위원장은 “거의 과반을 교체했고 인물 구성을 다양화했으며 청년‧여성을 지향했다. 나눠 먹기 없고 계파 없고 밀실 없는 공정하고 청정한 공천이었다고 감히 말씀드린다. 다른 때처럼 살생부나 찌라시 공천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주빈 기자
ye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