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선교 미래한국당 대표가 7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연합뉴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13일 자유한국당의 비례대표용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의 정식 등록을 허용했다. 선관위는 “정당법상 등록요건인 정당의 명칭, 사무소 소재지, 강령 및 당헌 등을 심사한바, 요건을 충족했다”고 밝혔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은 “가짜 정당”이라며 미래한국당의 정당 등록 불허를 주장한 바 있다.
이에 발맞춰 보수야권의 통합신당준비위원회(통준위)는 이날 회의를 열어 신당의 공식 명칭을 ‘미래통합당’으로 확정했다. 박형준 통준위 공동위원장은 “청년이 주인이 되는 정당으로 가야 한다는 취지에서 ‘미래’를 담고 새로운 정당이 중도·보수 통합 정당임을 알리는 것이 중요해서 ‘통합’을 붙였다”고 말했다.
결과적으로 보수 야권의 지역구 정당과 비례용 위성정당이 ‘미래’라는 단어로 통일성을 갖춘 셈이다. 자유한국당은 이날 국회에서 전국위원회를 열어 새로운보수당, 미래를 향한 전진 4.0(전진당)과의 합당을 의결하는 등 통합에 속도를 냈다.
한편 선관위는 안철수 국민당(가칭) 창당준비위원장이 추진하는 ‘국민당’ 당명은 불허 결정을 내렸다. 선관위는 “이미 등록된 정당인 ‘국민새정당’과 명칭이 뚜렷이 구별되지 않아 사용할 수 없으니 보완해달라”고 불허 사유를 밝혔다. 선관위는 지난 6일에도 특정인의 이름을 당명으로 사용한 ‘안철수신당’ 사용 불허 결정을 내린 바 있다. 국민당 창준위는 “선관위는 지난 2017년 국민의당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국민새정당 당명의 등록을 허락했다. 정치기관이 된 선관위의 고무줄 잣대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반발했다. 이주빈 기자
ye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