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인재 영입 환영행사에 법조인 출신 영입 인재인 소병철 전 대구고검장(뒷줄 왼쪽 두 번째부터), 이탄희 전 판사, 이소영 변호사, 이수진 전 판사(뒷줄 오른쪽 첫번재)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4월 총선을 앞둔 각 정당이 2030세대 공략을 위해 앞다퉈 “청년 정치”와 “세대교체”를 내세우고 있지만, 이번 총선에서도 실제 본선에 도전할 2030 후보자는 지난 20대 총선과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말은 요란하지만 실제 청년 정치인을 키우려는 의지도 없고, 시스템도 만들지 않은 탓이다. 기성 정치권에 형성된 ‘기득권 카르텔’이 작동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달 말 기준으로 공천을 신청한 475명 가운데 2030 후보자가 9명(1.9%)에 그쳤다. 전략선거구 공천 신청자와 영입 인재 19명 가운데 30대인 6명을 포함하면 약간 늘어날 수 있지만, 그동안 민주당이 청년 정치에 공을 들여왔던 것에 견주면 기대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자유한국당도 11일 기준으로 공천을 신청한 647명(비공개 신청자 17명 포함) 가운데 2030 후보자는 32명(4.9%)에 그쳤다.
공천을 신청한 이들이 본선에 후보자로 나설 수 있을지도 불투명하다. 내부 경선을 뚫기 쉽지 않은 탓이다. 실제 20대 총선 당시 민주당 후보자 234명 가운데 2030 후보자는 6명(2.56%)뿐이었다. 한국당(당시 새누리당) 역시 지난 총선 2030 출마자가 6명으로 전체의 2.41%에 불과했다. 장경태 민주당 전국청년위원장은 “청년 예비후보자 접수가 이 정도면 실제 공천자는 더 줄어들 것”이라며 “국회의원의 최대 권한이 입법인데, 법안발의 최소요건인 10명, 그 숫자도 청년으로 채우기 힘든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각 정당은 2030 후보자들이 본선까지 가기 위해 넘어야 할 높은 벽에는 큰 관심이 없다. 장 위원장은 “지역 부동산도 대목이라서 그 전까지 250만원을 부르던 선거사무실 월세가 다음에 다시 가니 500만원으로 올랐더라. 돈은 작은 문제일 뿐이고, 사회·경제적 주류가 장악한 지역사회에서 2030은 비주류도 아닌 주변인일 뿐이어서 진입 자체가 힘들다”고 털어놨다.
청년 정치인은 ‘인재 영입’과 ‘내부 육성’ 투트랙으로 이뤄지지만, 지금껏 후자가 거의 작동하지 않고 있는 점도 문제로 꼽힌다. 매번 총선 때마다 ‘청년’을 키우겠다는 약속만 반복되고, 총선이 끝나면 언제 그랬냐는 듯 자연스럽게 잊힌다. 민주당의 경우 ‘더드림 청년지원단’을 만들었지만, 청년 당원들은 “하드웨어일 뿐 소프트웨어가 없다”고 입을 모은다. 지난 지방선거 때 서울 강서구에서 광역의원 예비후보로 나섰던 김승현(33)씨는 “인재영입도 필요하지만, 당내에서 오래 활동했던 젊은 그룹을 성장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런 과정은 전혀 없이 정치 아카데미 등을 통해 유명한 사람의 강의를 듣는 것이 전부”라고 짚었다. 그는 이어 “선거가 오면 청년 비례대표 1석을 두고 경쟁을 시키는 것은 정치적 약자인 청년에 대한 실질적인 배려가 아니다. ‘로또’처럼 비례대표를 얻는 지금의 방식으로는 청년들의 조직이 단단해지기보다 파편화될 수밖에 없게 된다”고 꼬집었다. 장경태 위원장도 “당 내부에서 사람을 키워야 한다. 평사원에서 임원으로 가는 건 스토리가 되지만, 평당원에서 시작해 당 간부가 되는 건 스토리가 되지 않는 게 현실”이라고 씁쓸해했다. 앞서 지난 6일 더불어민주당 전국 청년당과 전국대학생위원회는 “비례대표 공천과 전략공천 지역에 청년 30%를 할당해달라”고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다.
서영지 이주빈 기자
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