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당대회 승리 2주년 행사에 지지자 1200명 집결
연설 원고에 없 던 개헌 얘기도 “제왕적 대통령 권력 바꿔야”
김무성 새누리당 전 대표가 14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한 행사장에서 당 대표 당선 2주년을 축하하는 만찬행사에서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총선 참패 이후 석달간 침묵하던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가 14일 지지자들을 모아놓고 양극화 해소 등 비전을 제시하며 “선봉에 설 테니 다시 한번 힘을 모아달라”고 했다. 특히 2014년 10월 중국에서의 “개헌 봇물” 발언으로 청와대로부터 강력한 경고를 받았던 그는 “제왕적 대통령제를 바꿔야 한다”며 공개적으로 개헌 주장을 폈다. 본격적인 대선 행보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김 전 대표는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의 대형 행사장에서 지지자 1200여명이 모인 가운데 전당대회(2014년 7월14일) 승리 2주년 기념행사를 열었다. 김 전 대표는 연설에서 “지금 대한민국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좌절과 분노”라며, 불평등, 저출산, 청년실업 문제 등을 거론한 뒤 “심각한 양극화를 초래하는 신자유주의식 자본주의 폐해를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제가 선봉에 서겠다. 대한민국을 살리기 위해 저와 여러분이 혁명동지, 운명공동체가 되자. 다시 한번 저 김무성을 믿고 힘을 모아달라”고 호소했다.
25분간 이어진 연설 말미에 김 전 대표는 미리 준비한 원고에 없는 개헌 얘기를 갑자기 꺼내들었다. “이 말을 하면 또 파란이 일 거 같다”며 한 템포 말을 삼킨 김 전 대표는 “꼭 드리고 싶은 말씀이 있다. 제왕적 대통령 권력 체계를 바꿔야 한다”고 개헌 필요성을 주장했다. 그는 “여야 간 극한 대립의 정치를 끝내야 될 때가 됐다. 한 사람의 인치로는 대한민국을 운영할 수 없다. 권력을 나누고 혁신해야 한다. 여야 간 연정을 할 수 있는 권력구조로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전 대표는 행사 시작 전에는 4·13 총선과 관련해 “국민공천제를 확립하고 여세를 몰아서 총선에서 승리하고자 당헌·당규 개정까지는 했지만 다른 정치세력이 반발해 선거 결과는 참패했다”고 말해, 친박계를 겨냥했다. 그는 “집권 여당 대표로서 대통령과 각을 세우면 안 된다는 생각에 병×이라는 소리를 들으면서도 참고 참았다”고도 했다.
이날 행사는 내용과 규모에서 대선 출정식을 방불케 했다. 행사 사회자가 “이것이 지도자의 길 아닌가?” “이 나라의 지도자가 누구인가?”라고 물으면 장내는 “김무성”을 연호하는 소리로 가득 찼다. 전국 17개 시·도 조직이 모인 이날 행사는 대선을 준비하는 김 전 대표가 자신의 전국 조직을 정비·재가동하는 의미가 크다. 이날 행사 참석자 대부분은 오는 8·9 전당대회에서도 표를 행사할 수 있는 책임당원들이라는 점에서, 김 전 대표가 전당대회에서도 비박계 후보 지원에 영향력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다. 전당대회 출마를 선언한 정병국·한선교 의원이 참석해 눈도장을 찍었다.
김 전 대표는 이날 행사를 시작으로 대선 행보를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한 측근은 “오늘 행사는 몸을 푸는 첫 단계로 보면 된다. 이제부터 대선을 위한 정치적 행보를 차근차근 밟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측근은 “앞으로 여러 현안에 액티브한 목소리를 내게 될 것”이라고 했다.
김남일 기자 namfic@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