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민주 “유해전자파 안전성 검증 안돼…왜 이리 서두르나”
국민의당 “중국 외교마찰로 인한 경제적 파장 대책 없어”
정의당 “안보위기 부를 것…철회해야”
국민의당 “중국 외교마찰로 인한 경제적 파장 대책 없어”
정의당 “안보위기 부를 것…철회해야”
8일 주한미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 배치 발표에 야권은 한목소리로 비판을 쏟아냈다. 다만 국민의당·정의당이 ‘전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한 것과 달리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는 사드 배치로 인한 영향을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는 ‘신중론’으로 접근했다.
이날 국방부의 발표는 ‘일방통보’에 가까웠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발표에 앞서 국회를 찾아 협조 요청에 나섰지만 야당의 ‘충격’을 상쇄하긴 역부족이었다. 한 장관은 이날 오전 10시30분 더민주 당대표실을 찾아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 등 당 지도부에게 한·미간 사드 배치 합의사항을 보고했다. 면담에선 무엇보다 국가안보와 관련된 사안이 국회에조차 ‘깜짝 통보’를 할 정도로 급히 결정된 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컸다.
이재경 더민주 대변인은 면담 뒤 브리핑에서 “김 대표를 포함한 참석자들이 사드의 군사적 효용성에 대한 의문, 유해 전자파로부터의 안전성, 중국과의 마찰 등을 지적했고, 그런 문제들이 있는데 과연 이 시점에 이렇게 결정할 정도로 사드 배치가 시급한 사안인가 하는 근본적인 문제 제기가 있었다”고 전했다. 우상호 더민주 원내대표는 <한겨레>와의 전화통화에서 “국방부가 어떤 합의도 없이 언론에 발표하기 직전에 야당을 찾아 결정을 전달한 것에 매우 불쾌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국민의당은 반대 입장을 한층 분명히 했다. 이날 오전 한 장관과 면담한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우리는 전략적으로 주변국 특히 중국과 러시아의 반발, 경제적 파장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해 실효성이 없다는 이유로 다시 한번 반대 입장을 밝혔다”고 말했다. 또 박 위원장은 “경제적, 외교적, 군사적 위기와 관련해 국민을 충분히 설득했어야 하는데 국방부는 그렇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정의당도 “사드 배치 이후 중국이 한-중 관계 현안에서 공세적 태도를 취해 한반도의 지정학적 불안이 고조되면 박근혜 정부의 경제 살리기에 치명적인 영향이 초래되고 우리가 주도하는 한반도 평화공존과 통일의 기회는 물 건너갈 것”이라며 “결정을 당장 철회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엄지원 기자 umkija@hani.co.kr
이슈사드 배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