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혁신위 보이코트 파장
“풀을 베고 뿌리를 제거하지 않으면 싹은 옛것이 다시 돋아난다.”
박근혜 대통령은 18일 규제개혁점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뿌리까지 확실히 없애라는 ‘참초제근’이라는 말이 있다”고 했다. 정작 이날 새누리당에서는 총선 참패의 환부로 지목됐던 친박근혜계의 패권적 행태가 한층 노골적으로 분출했다.
전날 당 쇄신의 첫발인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원회를 무산시킨 친박계는 이날 “생각이 다른 사람이 당을 나가라”며 비박근혜계를 향해 탈당·분당을 부추기는 듯한 발언을 스스럼없이 입에 올렸다. 김태흠 의원은 “절이 싫으면 스님이 떠난다. 당을 리모델링하는 과정에서 도저히 생각이 다른 사람이 당을 나가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고 했다.
유승민 의원에 대한 뼛속 깊은 거부감이라는 ‘친박 본색’도 거리낌 없이 드러냈다. 친박계 이장우 의원은 “(비박계 비상대책위원들이 내정된 뒤) 첫 회의부터 당내 구성원 대부분이 반대하는 유승민을 빨리 복당시키라는 얘기를 서슴없이 했다”고 비난했다. 비박계 비대위가 시작부터 당의 화합을 해쳤다는 주장이지만, ‘유승민 복당’이라는 친박계의 금기어를 비박계가 꺼낸 게 이번 비상대책위원회·혁신위원회 무산 사태의 한 원인임을 자복한 것이다.
당 지도부 공백을 조기 해소하기 위한 비대위·혁신위 구상에 제동을 건 친박계에서 전당대회를 서두를 것을 주장하는 앞뒤 안 맞는 상황도 벌어졌다. 홍문종 의원은 “정진석 원내대표의 리더십이 없어진 것과 마찬가지다. 전당대회를 빨리 치르는 것도 방안”이라고 했다. 총선 참패 진단과 그에 따른 ‘친박 2선 후퇴’ 등 가혹한 처방을 내놓을 것이 예상되던 비대위·혁신위를 일차 좌초시키는 데 성공한 친박계가 혁신 대신 당 기득권 확보로 곧장 돌진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현재 전당대회 출마 후보군은 친박계가 다수를 점하고 있다.
산통이 깨졌지만 사태를 봉합할 계파 대표선수들도 나서지 않고 있다. 총선 전 김무성 전 대표와 ‘핫라인’을 구축했던 친박계 핵심 최경환 의원은 친박계 초·재선의 집단행동에도 여전히 외부활동을 자제하고 있다. 하지만 비대위원에 내정됐던 비박계 이혜훈 당선자는 ‘상임전국위 무산에 친박 실세의 뜻이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상식적으로 해석하면 그렇다”고 했다.
반면 친박계 쪽은 “상임전국위·전국위 무산은 비박계의 리더십 부족과 이중성 때문”이라고 반박하며, 비대위·혁신위 전면 재구성 요구를 굽히지 않고 있다. 의결정족수 미달을 초래한 불참자 중 비박계도 상당수 있었던 반면, 일부 친박계는 참석을 했다는 것이다. 상임전국위 구성이 친박계가 소수였던 김무성 전 대표 시절 이뤄졌다는 반박도 나온다.
김남일 기자 namfic@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