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 정의당 상임대표(가운데)가 1일 오후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신원마을 네거리에서 유세차에 올라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고양/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4·13 총선 진보정당 ‘악전고투’
비례대표 의석 축소와 야권연대 무산 등 중첩된 악재에도 불구하고 20대 총선에 나서는 진보정당들은 여전히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유일 원내정당인 정의당은 두자릿수 정당지지율과 두자릿수 의석(지역구 4+비례 6) 확보가 목표다. 이를 위해 총선 정당득표율을 12%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원외정당인 노동당과 녹색당은 정당득표율 3%를 돌파해 원내 진출의 숙원을 이루겠다는 의지가 결연하다. 문제는 원내 진출 13년째를 맞았음에도 진보정당들의 지지율이 한자릿수 초반대에 정체되고, 지지층의 외연은 확대됐지만 그에 반비례해 내부 결집력은 뚜렷하게 약화되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지지율 정체는 ‘전략 지역’인 호남권에서의 고전으로 가시화하고 있다. 진보정당의 지역 거점은 2010년 지방선거를 계기로 뚜렷한 변화를 보여왔다. 2004년 총선 때 13.1%였던 광주의 민주노동당 득표율은 2012년 총선에서 18.6%(통합진보당)까지 치솟았고, 전남(11.1→14.8%), 전북(11.1→14.2%)도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같은 기간 전통 강세지역인 울산의 지지율이 21.9%에서 16.3%로, 경남이 15.8%에서 10.5%로 내려앉은 것과는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하지만 20대 총선이 2주도 남지 않은 상황임에도 정의당의 호남권 지지율이 여전히 한자릿수에 정체돼 있다. 통합진보당 해산 뒤 ‘무주공산’이 된 ‘반새누리·비더민주’ 성향 유권자층을 국민의당이 빠르게 잠식하면서 진보정당 후보들의 고전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호남권 지지율 국민의당에 잠식
블루칼라·자영업자 등 지지 바닥
세대교체 늦어 리더십 정체지만… “더민주 오른쪽 이동에 따른 공간
진보적 의제들로 공략한다면
진보정당 더 많은 기회 열릴수도” 지지층 내부의 결속력도 약화되고 있다. 3월 5주차 갤럽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정의당 지지층의 직업별 분포를 보면, 학생이 13%로 가장 높고, 다음이 화이트칼라(9%) 층이다. 진보정당이 표방하는 정책의 최대 수혜층인 블루칼라(3%), 자영업자(2%) 층의 지지도는 사실상 ‘바닥 수준’인 셈이다. 당원 분포 역시 마찬가지다. 3만5000여명으로 추산되는 정의당원의 절반이 최근 1년 새 신규 입당자로, 과거 사회운동 참여 경험이 많지 않은 20~30대가 주축이다. 옛 민주노동당과 통합진보당이 노조에 소속된 조직노동자층이 다수였던 것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당 관계자는 “외연 확대라는 점에선 긍정적이지만, 언제든 제1야당으로 이탈할 가능성이 있다는 게 불안 요인”이라고 했다. 세대교체가 지연되면서 당내 리더십의 정체 상태가 이어지는 것도 문제다. 이 점은 권영길·강기갑·단병호 등 17대 총선 때 민주노동당의 ‘얼굴’이었던 1세대 정치인들은 퇴장했지만, 같은 세대인 노회찬·심상정 등 소수의 ‘스타 정치인’들이 여전히 당의 간판 구실을 하고 있는 데서도 드러난다. 상황이 이렇게 된 데는 대중정치인의 충원 통로가 돼야 할 비례대표가 제구실을 못한 탓도 크다. 정의당의 관계자는 “19대 비례대표로 등원한 4명의 당 국회의원 가운데 지역구 경쟁력을 가진 의원이 누가 있나. 당 활동 경력이나 지역기반이 없는 명망가 위주로 공천을 하다 보니 비례대표가 ‘일회용 초선의원’ 배출 통로밖에 되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하지만 진보정당의 상황을 두고 비관만 하기에는 이르다는 시각도 만만찮다. 총선 투표일이 다가오면서 당 지지율에도 변화의 조짐이 감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1일 공개된 갤럽 여론조사에서 정의당 정당지지율은 여전히 5%에 머물렀지만, ‘총선 때 투표할 비례대표 정당’으로 정의당을 꼽은 응답자는 7%에 달했다. 2012년 총선 때도 투표일 3주 전까지 통합진보당 지지율은 지금과 같은 5%에 머물렀지만, 4월 첫주에 7%, 투표 당일 8%까지 상승한 뒤 최종 정당득표율은 10.03%를 기록했다.
제1야당의 ‘보수화’가 진보정당의 활동반경을 넓히는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진단도 나온다. 신진욱 중앙대 교수는 “1997년 이후 조사 결과를 보면, 정치가 다뤄야 할 가장 시급한 과제가 ‘불평등과 경제적 불안’이라는 게 지배적 여론”이라며 “더불어민주당의 ‘우클릭’으로 생긴 정치적 빈 공간을 삶에 밀착된 구체적 진보 의제들로 공략한다면 진보정당에 더 많은 기회가 열릴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세영 기자 monad@hani.co.kr
블루칼라·자영업자 등 지지 바닥
세대교체 늦어 리더십 정체지만… “더민주 오른쪽 이동에 따른 공간
진보적 의제들로 공략한다면
진보정당 더 많은 기회 열릴수도” 지지층 내부의 결속력도 약화되고 있다. 3월 5주차 갤럽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정의당 지지층의 직업별 분포를 보면, 학생이 13%로 가장 높고, 다음이 화이트칼라(9%) 층이다. 진보정당이 표방하는 정책의 최대 수혜층인 블루칼라(3%), 자영업자(2%) 층의 지지도는 사실상 ‘바닥 수준’인 셈이다. 당원 분포 역시 마찬가지다. 3만5000여명으로 추산되는 정의당원의 절반이 최근 1년 새 신규 입당자로, 과거 사회운동 참여 경험이 많지 않은 20~30대가 주축이다. 옛 민주노동당과 통합진보당이 노조에 소속된 조직노동자층이 다수였던 것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당 관계자는 “외연 확대라는 점에선 긍정적이지만, 언제든 제1야당으로 이탈할 가능성이 있다는 게 불안 요인”이라고 했다. 세대교체가 지연되면서 당내 리더십의 정체 상태가 이어지는 것도 문제다. 이 점은 권영길·강기갑·단병호 등 17대 총선 때 민주노동당의 ‘얼굴’이었던 1세대 정치인들은 퇴장했지만, 같은 세대인 노회찬·심상정 등 소수의 ‘스타 정치인’들이 여전히 당의 간판 구실을 하고 있는 데서도 드러난다. 상황이 이렇게 된 데는 대중정치인의 충원 통로가 돼야 할 비례대표가 제구실을 못한 탓도 크다. 정의당의 관계자는 “19대 비례대표로 등원한 4명의 당 국회의원 가운데 지역구 경쟁력을 가진 의원이 누가 있나. 당 활동 경력이나 지역기반이 없는 명망가 위주로 공천을 하다 보니 비례대표가 ‘일회용 초선의원’ 배출 통로밖에 되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하지만 진보정당의 상황을 두고 비관만 하기에는 이르다는 시각도 만만찮다. 총선 투표일이 다가오면서 당 지지율에도 변화의 조짐이 감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1일 공개된 갤럽 여론조사에서 정의당 정당지지율은 여전히 5%에 머물렀지만, ‘총선 때 투표할 비례대표 정당’으로 정의당을 꼽은 응답자는 7%에 달했다. 2012년 총선 때도 투표일 3주 전까지 통합진보당 지지율은 지금과 같은 5%에 머물렀지만, 4월 첫주에 7%, 투표 당일 8%까지 상승한 뒤 최종 정당득표율은 10.03%를 기록했다.
진보정당 역대 의석수 및 정당득표율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