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관위, 검찰에 수사의뢰
카톡서 퍼진 편집본 역추적
카톡서 퍼진 편집본 역추적
새누리당을 발칵 뒤집어놓으며 4·13 총선 공천의 공정성까지 흔들고 있는 ‘경선용 사전 여론조사 결과 유출 사건’이 결국 검찰로 넘어갔다. 에스엔에스(SNS) 유포 초기 단계에 관여한 당직자와 보좌진 등이 수신내용을 삭제하거나 진술을 거부해, 압수수색 등 검찰의 강제수사가 필요해진 탓이다. 최소 3명 이상이 유출을 주도했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특정 계파나 주요 당직자, 공천 업무 관계자가 연루된 것으로 확인될 경우 파장은 걷잡을 수 없이 커질 전망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7일 오후 이 사건을 새누리당 당사와 여의도연구원을 관할하는 서울남부지검에 수사의뢰했다. 주말 동안 새누리당 공천관리위원 11명을 상대로 유출 가능성을 조사한 선관위는, 지난 3일 오후부터 카카오톡을 통해 급속히 퍼진 5장의 여론조사 편집본 전달 경로를 역추적했다. 선관위는 ‘3월3일 오전 9시께’ 카카오톡으로 편집본을 전달받고 다시 퍼뜨린 8명을 확인했지만, 당사자들이 “대화방에서 탈퇴했다”, “전달자를 말할 수 없다”고 하면서 조사를 더 이상 진행시키지 못했다. 이들 8명은 정당 관계자, 보좌진, 비서관, 기자 등으로 알려졌다.
유출된 편집본은 68개 선거구의 여론조사 결과가 뒤섞여 있다. 여의도연구원의 실제 여론조사 결과와 유출된 수치가 일치하지 않는 지역구는 19개다. 불일치 지역구에는 새누리당 초민감 지역인 대구·경북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유출 편집본 5장의 폰트(명조·고딕), 편집 형태(자간·줄간격), 사진 배경 등을 고려할 때 작성과 유포에 최소 3명은 관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지난 4일 오전 추가로 유포된 ‘여성 우선추천·단수추천·경선지역’ 자료가, 이날 오후 6시가 넘어 이한구 공관위원장이 발표한 내용과 상당부분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폰트 전문가는 “두 글자체는 디자인업계 등에서 유료로 사용하는 ㅅ업체 폰트다. 일반인들은 잘 사용하지 않는다”고 했다.
유출 편집본은 친박-비박, 어느 한쪽에 일방적으로 유리하게 해석되지는 않는 수치들을 담고 있다. 하지만 유출·왜곡 의도와 상관 없이, ‘누가’ 유출에 관여했는지만 드러나도 당내 공천 갈등은 또 다시 폭발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남부지검은 이 사건을 선거 전담부서인 형사6부에 배당했다.
김남일 기자 namfic@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