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능도 모자라 무책임하기까지”
김종인 잇단 우편향 발언과 대조
김종인 잇단 우편향 발언과 대조
더불어민주당 대표직을 사퇴하고 경남 양산 고향집에 칩거 중인 문재인 의원이 14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박근혜 정부의 대북 정책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지난 12일 트위터에 “개성공단 폐쇄 결정은 박근혜 정권 최악의 잘못”이라는 글을 올린 지 이틀 만이다. 문 의원의 이런 태도는 정부의 개성공단 폐쇄 조처를 두고 “단순하게 찬반론으로 끝나는 문제가 아니다”라며 신중론을 편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의 행보와 대비되는 것으로, 안보 이슈와 관련한 더민주의 대응 기조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문 의원은 글에서 정부의 대북 강경책에 대해 “안보를 국내정치 목적으로 활용하면서 국민을 불안하게 하고, 경제가 무너져도 상관없다는 식의 태도는 무모하기 그지없는 태도”라며 “안보를 책임져야 할 정부 여당이 무능한 것도 모자라 무책임하기까지 하다”고 날을 세웠다. 사드 배치론 및 개성공단 폐쇄 조처와 관련해선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는 개성공단 중단으로 마침표를 찍었고,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도 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 러시아와의 갈등으로 무너졌다. 박근혜 정부가 공언한 대북정책, 대외정책은 철저한 실패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더민주 의원들 일부는 문 의원의 글을 사회관계망서비스에 공유하며 공감을 표시했다. 이들은 김종인 대표의 잇따른 ‘안보 우클릭’ 발언에도 침묵을 지켜왔다. 당의 선거 전략상 어쩔 수 없다는 분위기가 지배적이었던 탓이다. 당 핵심 관계자는 “개성공단 폐쇄야 백번 잘못된 결정이지만, 선거 전략을 총괄하는 입장에선 옳고 그름보다 유불리의 차원에서 접근하는 게 맞다”고 했다. ‘보수층 결집’ 같은 ‘북풍’의 직접적 효과는 약화된 게 사실이지만, 대북 이슈가 전면화할 경우 야당의 운신폭이 좁아지고, 정권 심판론의 위력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고려해야 한다는 논리다. 또 다른 당 관계자는 “김종인의 안보관이 보수적이라는 건 다 알고 있었던 사실 아니냐. 이제 와서 당 정체성과 다르다고 비판하는 것은 온당치 않다”고 했다.
앞서 김종인 대표는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직후인 9일 전방부대를 방문한 자리에서 “장병들이 국방 태세를 튼튼히 유지하고 그런 과정 속에서 우리 경제가 더 도약적으로 발전하면 언젠가 북한 체제가 궤멸하고 통일의 날이 올 것이라는 것을 확신한다”고 말해 논란을 빚었다. 정부의 개성공단 폐쇄 조처를 두고서도 12일 비대위 회의에서 “주변 강대국들과 연관해서 봐야 한다. 단순하게 찬반론으로 끝나는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해 ‘지나친 보수 눈치보기’라는 비판을 받았다.
더민주와 경쟁 중인 국민의당은 이날도 대변인 논평을 통해 ‘김종인 때리기’를 이어갔다. 장진영 대변인은 “김종인 대표의 북한 궤멸론은 민주세력의 정통성과 정체성의 근본을 뒤흔드는 중대 사안으로 인식하고 있다. 더민주는 김 대표의 발언대로 햇볕정책을 포기한 것인지를 밝혀야 한다”고 압박했다.
이세영 기자 mona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