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노무현 전 대통령 6주기를 하루 앞둔 2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참석자들의 발언을 들으며 생각에 잠겨 있다. 문 대표 위로 노무현 전 대통령 사진이 걸려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김상곤 혁신위원장’ 의미
새정치민주연합 최고위원회가 22일 당 전반의 혁신 계획을 입안할 ‘초계파 혁신기구’ 위원장에 당 비주류 쪽과 친분이 두터운 김상곤 전 경기교육감을 낙점하면서 문재인 대표와 ‘범주류’가 다수인 최고위원회가 비주류 원내지도부 및 혁신위원장과 권력을 분점하는 ‘동거체제’가 탄생할 지 여부가 주목받고 있다. 김 전 교육감에게 당무·공천·인사 혁신의 전권을 부여받게 될 혁신위원장직을 제안한 이유는, 당내 주류나 문 대표와 가까운 외부인사가 혁신의 칼자루를 쥘 경우 공정성 논란과 당내 저항을 피해가기 어렵다는 점이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혁신위 구성이 애초 계획대로 주말 안에 마무리된다면 4·29 재보궐선거 참패 뒤 한 달 가까이 지속된 새정치연합의 내분은 일단 봉합의 모양새를 갖추게 된다. 당 안팎의 일차적 관심은 김상곤 전 교육감의 수락 여부와 그와 함께 일할 위원들의 면면에 모아진다.
문재인 대표는 애초 ‘안철수 카드’를 고민할 당시 안철수 위원장을 중심으로 김상곤 전 교육감과 조국 서울대 교수, 임종석 서울시 정무부시장이 위원으로 참여하는 구도를 검토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문재인-조국, 안철수-김상곤, 박원순-임종석의 구도로, 혁신기구를 사실상의 당내 대선주자들의 의사가 반영되는 형태로 꾸리려 했던 셈이다.
김상곤, 비주류와 두터운 친분
문대표·최고위원회에 대해
혁신기구·원내지도부 구도 모습
김상곤 수락 땐 일단 내분봉합 문제는 ‘혁신’의 방향·강도에 대한 계파간 이견 뿐 아니라 안철수 의원을 위원장으로 설득하는데 실패하는 과정에서 문 대표와 안 의원의 불신이 여전하다는 것이 확인된 점이다. 당 관계자는 “문 대표로서는 어떻게든 안 의원을 설득했어야 하는데, 정치 경험이 짧은 문 대표가 적극성이나 기민한 정치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혁신안 마련 과정에서 김상곤 전 교육감을 향해 쏟아질 비난과 저항을 문 대표가 제대로 방어해줄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했다. 김 전 교육감이 위원장직 수락을 미루는 것도 문 대표의 리더십과 당내 상황에 대한 불안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 김 전 교육감은 전날 심야 3자회동(문재인-조국-김상곤)에 이어 이날 오후 1시간 남짓 문 대표와 만난 자리에서도 “문 대표와 당에 혁신 의지가 있는지를 거듭 확인했다”고 김성수 대변인은 전했다. 문 대표를 향해 혁신의 전권과 함께 예상되는 당내 반발과 저항을 확실히 돌파하겠다는 확답을 요구한 것으로 짐작되는 대목이다. 당 일각에선 김 전 교육감이 문 대표를 향해 자기 살을 내주고 상대 뼈를 취한다는 ‘육참골단’(肉斬骨斷, 자기 희생을 먼저 해야 타인이 따른다는 뜻)의 의지 표명을 요구하지 않았겠느냐는 관측도 나온다. 혁신 작업의 핵심이 ‘공천’과 ‘인적 쇄신’에 있는 만큼, 당내 세력들의 반발을 사실상의 외부인사인 김 전 교육감이 돌파하기 위해선 문 대표 쪽의 자기희생에 대한 보증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한 핵심 당직자는 “지금까지 무수한 혁신안이 만들어지고 좌초한 것은 당내 반발을 무마하거나 돌파할 수 있는 지도부의 의지와 능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라며 “혁신 작업이 실패하면 당 대표가 함께 책임을 지겠다는 비상한 각오로 대표직이라도 걸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세영 기자 monad@hani.co.kr
문대표·최고위원회에 대해
혁신기구·원내지도부 구도 모습
김상곤 수락 땐 일단 내분봉합 문제는 ‘혁신’의 방향·강도에 대한 계파간 이견 뿐 아니라 안철수 의원을 위원장으로 설득하는데 실패하는 과정에서 문 대표와 안 의원의 불신이 여전하다는 것이 확인된 점이다. 당 관계자는 “문 대표로서는 어떻게든 안 의원을 설득했어야 하는데, 정치 경험이 짧은 문 대표가 적극성이나 기민한 정치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혁신안 마련 과정에서 김상곤 전 교육감을 향해 쏟아질 비난과 저항을 문 대표가 제대로 방어해줄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했다. 김 전 교육감이 위원장직 수락을 미루는 것도 문 대표의 리더십과 당내 상황에 대한 불안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 김 전 교육감은 전날 심야 3자회동(문재인-조국-김상곤)에 이어 이날 오후 1시간 남짓 문 대표와 만난 자리에서도 “문 대표와 당에 혁신 의지가 있는지를 거듭 확인했다”고 김성수 대변인은 전했다. 문 대표를 향해 혁신의 전권과 함께 예상되는 당내 반발과 저항을 확실히 돌파하겠다는 확답을 요구한 것으로 짐작되는 대목이다. 당 일각에선 김 전 교육감이 문 대표를 향해 자기 살을 내주고 상대 뼈를 취한다는 ‘육참골단’(肉斬骨斷, 자기 희생을 먼저 해야 타인이 따른다는 뜻)의 의지 표명을 요구하지 않았겠느냐는 관측도 나온다. 혁신 작업의 핵심이 ‘공천’과 ‘인적 쇄신’에 있는 만큼, 당내 세력들의 반발을 사실상의 외부인사인 김 전 교육감이 돌파하기 위해선 문 대표 쪽의 자기희생에 대한 보증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한 핵심 당직자는 “지금까지 무수한 혁신안이 만들어지고 좌초한 것은 당내 반발을 무마하거나 돌파할 수 있는 지도부의 의지와 능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라며 “혁신 작업이 실패하면 당 대표가 함께 책임을 지겠다는 비상한 각오로 대표직이라도 걸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세영 기자 mona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