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위원직에서 물러날 뜻을 밝힌 김태호 의원이 2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를 마치고 나와 기자들의 질문을 듣고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조해진 “개헌론 잠재우려는 건지, 불 지피려는 건지…”
홍문종 “불안감과 초조함?…친박계와 연대설은 아냐”
홍문종 “불안감과 초조함?…친박계와 연대설은 아냐”
새누리당 김태호 최고위원의 돌발 사퇴 동기에 대해 새누리당 의원들 사이에서도 여러 설이 난무하고 있다. 김 최고위원은 “청와대도, 김무성 대표도 모두 잘못했다”고 말했지만 동료 의원들은 “그런 메시지를 보내려고 사퇴한다는 건 납득이 안된다”는 반응을 보였다.
조해진 새누리당 의원은 24일 <문화방송>(MBC) ‘신동호의 시선 집중’에 나와 “당과 청와대를 비판하기 위해 최고위원을 사퇴한다는 건 납득이 잘 안된다. 최고위원은 당의 지도부인데 그런 문제가 있을 때 청와대와 당 사이를 소통하게 만들고 이견을 조정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정확한 (사퇴) 동기를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개헌론을 잠재우기 위한 것인지 불 지피기 위한 것인지도 불분명하다. 본인 얘기를 직접 들어볼 필요가 있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뒤이어 출연한 같은 당 홍문종 의원도 “많은 사람들이 어리둥절해 하고 있다”고 전했다. 홍 의원은 “당내에서의 스포트라이트가 김무성 대표에게 집중되는 것에 대한 약간의 불안감과 초조함 등이 작용하지 않았나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며 “친박계와의 연대설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김태호 최고위원은 지난 23일 아침 최고위원회의에서 ‘개헌 골든타임’을 주장한 김무성 대표를 비판하며 위원직 사퇴 의사를 밝혔다. 박 대통령에 대한 비판 목소리를 내며 개헌론을 주장해왔던 그동안의 태도와 맞지 않아 이해하기 힘든 발언이었다. 김 최고위원은 이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엔 “개헌과 경제 살리기의 절박성을 알리기 위한 것이었다”는 ‘양비론’적 입장으로 태도를 바꿨다. 오락가락하는 김 최고위원의 발언에 비쳐 ‘차기 주자로서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포석’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박현철 기자 fkcoo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