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왼쪽 셋째)과 비상대책위원들이 2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첫 회의를 하기에 앞서 손을 맞잡고 있다. 왼쪽부터 문재인·정세균 비대위원, 문 위원장, 박영선 원내대표, 박지원·인재근 비대위원.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정세균 “선명한 장기전 준비”
문재인 “의원 그만둔다는 각오”
인재근 “청와대 도발에 본때”
세월호법 해법 두고
문재인-정세균 묘한 긴장관계
당내에선 기대반 우려반
문재인 “의원 그만둔다는 각오”
인재근 “청와대 도발에 본때”
세월호법 해법 두고
문재인-정세균 묘한 긴장관계
당내에선 기대반 우려반
6인6색이요, 말들의 성찬이었다. 22일 열린 새정치민주연합 비상대책위원회 1차 회의는 ‘정치적 존재감’을 과시하려는 계파 수장들의 경연장을 방불케 했다.
“더이상 계파주의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문희상 비대위원장의 ‘선언’ 이후 발언권을 넘겨받은 비대위원들은 경쟁하듯 ‘제목용 멘트’를 쏟아냈다. 당연직으로 참여한 박영선 원내대표가 ‘부자감세 맞짱토론’을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에게 제안하며 포문을 열자, 정세균 위원이 “세월호 진상규명을 위해 ‘선명한 장기전’을 준비해야 한다”며 분위기를 돋웠다. 문재인 위원은 “세월호법을 타결하지 못하면 여야 모두 국회의원을 그만둘 각오로 임해야 한다”며 비장함의 수위를 끌어올렸고, 인재근 위원은 “국회를 모욕한 청와대의 도발에 본때를 보여줘야 한다”는 말로 ‘선명성 경쟁’의 정점을 찍었다.
참석자들의 발언 내용이 전해지자 당내에선 “간만에 회의다운 회의였다”는 평가와 “걱정된다”는 우려가 동시에 나왔다. 한 당직자는 “그만그만한 계파 대리인들이 참석한 비대위였다면 이 정도 주목을 받는 게 가능했겠느냐”고 반문했다. 반면 수도권의 한 초선의원은 “예상했던 경쟁 구도가 일찍 표면화하는 것 같다”며 “당권에 관심 있는 비대위원들이 당원과 지지층을 겨냥해 ‘자기 정치’ 욕심을 부리면 상황이 더 꼬일 것”이라고 우려했다.
실제 이날 회의에선 유력 당권주자인 문재인·정세균 위원이 세월호법 협상에 대한 정반대의 해법을 내놓으면서 묘한 긴장관계를 형성했다. 문재인 위원은 문희상 비대위원장과 보조를 맞춰 “유족이 수사·기소권을 양보하면 새누리당도 특검에 대해 신뢰할 만한 대안을 내놓아야 한다”며 ‘특검 추천권 조정’에 무게를 둔 대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정세균 위원은 “세월호법 미궁에서 벗어나는 길은 세월호를 끝까지 책임지는 일이다. 안 되면 의회권력을 되찾아온 뒤라도 진상규명을 위한 법을 제대로 만들어야 한다”며 대립각을 세웠다. 이를 두고 당내에선 “두 사람의 경쟁구도가 머잖아 가시화될 것”이란 관측도 나왔다.
본격적인 당권 경쟁은 전당대회 규칙을 정할 전대준비위와 지역위원장 선출을 위한 조직강화특위 구성에 착수하는 순간 ‘불꽃’이 일 가능성이 높다. 일각에선 ‘당권’을 노리는 일부 위원들이 문재인 위원 쪽을 겨냥해 “대권에 출마할 인사가 총선 공천권을 행사해선 안 된다”며 전당대회 출마 포기를 압박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른바 ‘당권-대권 분리론’이다. 비대위 구성에서 소외된 옛당권파(김한길·안철수계)와 정동영 상임고문 등 원외인사들의 불만도 표면화하고 있다. 안철수 전 대표와 가까운 한 당직자는 “몇몇 세력이 배제된 이상, 앞으로의 과정과 결과에 상관없이 분란의 소지가 상존하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정동영 고문은 이날 성명을 내어 “계파 청산이 아니라 특정 계파의 독과점 선언이자 계파정치 폐해의 무한 반복”이라고 반발했다.
이세영 기자 mona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