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강수로 협상동력 잃어”
‘대국민 담화’ 비판 목소리 이어져
‘대국민 담화’ 비판 목소리 이어져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 이튿날인 5일 새누리당에서는 대통령 담화에 대한 문제 제기기 이어졌다. 여당의 대응이 적절치 못했다는 비판도 들끓었다.
친박 중진인 정우택 의원은 <문화방송>(MBC) 라디오에 출연해 “어제(4일) 담화를 통해 여당이 협상 동력을 잃어버린 측면이 있다. 그러나 공은 여야 (협상)의 몫으로 확실하게 넘어왔다는 걸 다시 한번 각인시킨 결과가 됐다. 청와대가 그 말을 했다고 해서 (여당이) 그 말에 구속되는 건 아니다. 합리성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당의 자주적인 협상을 촉구한 셈이다.
대통령 담화에 대한 비판도 터져나왔다. 김용태 의원은 <에스비에스>(SBS) 라디오에 출연해, “오늘(5일) 국회가 열려 야당이 강한 비판을 하면서도 어쩔 수 없이 통과시켜주지 않겠는가 생각했지만, 어제 대통령 담화 때문에 어려워지지 않았나 싶다. 너무 강수를 둬서 야당을 궁지에 몰지 않았나 아쉬움이 있다”고 말했다. 야당과의 협상 전략에서도 효과적이지 못했다는 것이다. 조해진 의원은 <와이티엔>(YTN) 라디오에 출연해 “협상이 결렬돼 대통령이 더이상 좌시할 수 없어서 그랬지만, 우리(국회)는 타협할 수 있고 또 후퇴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여당이 제 구실을 하지 못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친이계 좌장격인 이재오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당이 이렇게 존재감이 없어서 되겠나. 청와대가 야당과 맞설 경우 여당이 설 자리가 없어진다. 여당이 협상의 주도권을 잡고 야당을 설득해서 합의안을 만들고, 이걸 갖고 청와대를 설득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쪽은 “대통령이라고 야당과 싸우는 모양새를 보이고 싶겠느냐”라며 박 대통령의 ‘진정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대통령의 ‘강수’가 국회의 협상 여지를 없애버렸다는 우려도 나온다. 일부 참모들은 대국민 담화 발표를 반대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외현 조혜정 기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