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정당 연석회의 준비모임이 13일 오후 서울 마포구 도화동 가든호텔에서 열렸다. 참석자들이 박원순 서울시장(왼쪽 셋째)을 환영하는 박수를 치고 있다. 왼쪽부터 김두관 경남지사, 손학규 민주당 대표, 박 시장, 문재인 노무현 재단 이사장, 이해찬 혁신과 통합 대표, 정동영 민주당 최고위원.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20일 안 연석회의 목표로
민주·혁통 첫 준비모임
박원순·김두관 등도 참석
“누구에게나 문 열려있다”
민주·혁통 첫 준비모임
박원순·김두관 등도 참석
“누구에게나 문 열려있다”
민주당과 ‘혁신과 통합’ 등이 추진하는 야권통합정당을 위한 연석회의가 첫발을 뗐다. 민주노동당 등 진보 3자통합 세력을 제외한 야권 세력의 이른바 ‘개문발차식 중통합’이 구체화하고 있는 것이다.
13일 서울 마포구의 한 호텔에서 열린 ‘민주진보 및 시민 통합정당 출범을 위한 연석회의 준비모임’에는 민주당의 손학규 대표 등 최고위원 전원, 이해찬 전 총리와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 김두관 경남지사 등 ‘혁신과 통합’ 상임대표단 전원 그리고 박원순 서울시장이 참석했다. ‘준비모임’이란 꼬리표가 붙은 것은 민노당과 국민참여당, 통합연대가 별도의 통합 논의를 진행중인 상황에서 우선 참여가 가능한 세력끼리 통합 협상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눈에 띄는 것은 박원순 시장과 김두관 지사의 참석이다. 지방자치단체장으로서 정치 활동에 주력하긴 어렵지만, 야권단일후보로 당선된 무소속 시장·지사로서 야권통합에서 일정한 역할을 맡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두 사람의 지역 기반이 내년 총선에서 승부처로 꼽히는 수도권과 영남이란 점도 주목받는다. 박원순 시장 쪽은 “첫 만남에 함께하면서 통합에 힘을 실어주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통합정당 건설의 필요성을 재확인하고 오는 20일까지 첫 연석회의를 여는 것을 목표로 ‘3자 협상’(민주당-혁신과 통합-박원순 시장)을 이어가기로 했다. 협상단으로 민주당 쪽에선 이인영 최고위원, 박선숙 전략홍보본부장과 김헌태 전략기획위원장이, ‘혁신과 통합’ 쪽에선 문성근 상임대표와 김기식 공동대표, 정윤재 기획위원장이 나섰다. 박원순 시장 쪽은 여타 시민사회를 대표할 협상단을 꾸릴 계획으로, ‘복지국가와 진보대통합을 위한 시민회의’(상임대표 이학영) 인사들이 물망에 오른다.
통합정당에 추가로 합류할 세력으로는 최근 일부 산별노조가 지지를 선언한 한국노총이 꼽힌다. 한국노총은 오는 16일 중앙정치위원회를 열어 통합정당 합류 여부를 결정할 전망이다.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의 참여 여부도 큰 관심거리다. 박원순 시장은 이날 “시민사회나 전문가 집단, 저나 안철수씨 같은 사람도 주저없이 참여할 수 있는 당”을 제안했다.
이들이 목표로 하는 통합정당의 제안서는 민노당, 참여당 등 진보정당에도 전달될 예정이다. 그러나 논의가 진행중인 진보 3자통합과는 각자의 길을 가면서 선거 연대·연합 방안을 모색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김두관 지사는 “참여당, 민노당, 시민사회 등이 함께하지 못해 약간 아쉽지만 오늘 출발은 큰 의의를 갖는다”며 “민주진보진영의 맏형인 민주당 지도부가 더 넓은 아량을 발휘해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통합 논의에 속도를 내고 있는 데에는 민주당 내 사정도 한몫하고 있다. 독자 전당대회를 요구하는 민주당 전대 주자들의 목소리가 적지 않은 상황에서, 연석회의 출범이 늦어질 경우 상당한 공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박지원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트위터를 통해 “야권대통합은 반드시 필요하지만 의견 수렴 없이 당헌당규를 무시한 채 속전속결로 사실상 ‘소통합’만 이뤄진다면 또 다른 야권분열의 불씨를 만들 수 있다”며 당 지도부를 압박했다.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