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의 퇴임 뒤 사저가 들어설 예정인 서울 내곡동 터에 있던 한정식집 ‘수양’의 철거 전 모습. 홍영표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13일 현안 브리핑에서 “청와대는 ‘이 건물이 31년 된 폐허 같은 건물로 공시지가가 제로(0)였다’고 해명했다. 백문이 불여일견. 단도직입적으로 묻겠다. 이처럼 호화로운 건물이 한 푼 값어치도 없단 말인가?”라고 밝혔다.
‘MB사저’ 이어지는 논란
사저·경호터 별도 계약한
봉하마을 사례와 대조적
“비용 구분 고민했어야”
사저·경호터 별도 계약한
봉하마을 사례와 대조적
“비용 구분 고민했어야”
이명박 대통령이 퇴임 뒤 거주할 서울 서초구 내곡동 사저 땅을 둘러싼 의문이 꼬리를 무는 것은 사저 부지와 경호실 부지를 함께 묶어 구매한 탓이 크다. 개인 재산인 사저와 국가 재산인 경호실을 구분하지 않고 일괄 구입하는 과정에서 국가 예산과 개인 돈이 기준 없이 마구 뒤섞였고 결과적으로 대통령의 아들 시형씨가 최소한 5억5천만원 안팎의 특혜를 봤기 때문이다.
청와대의 부지 매입을 중개한 부동산중개인은 13일 “지난겨울에 (이 대통령의 아들 시형씨 쪽에서) 연락이 와서 강남 일원에 단독주택을 지을 수 있는 대지 200평에 전(밭)이 붙어 있는 땅을 40억~50억에 구해달라고 했다”고 말했다. 시형씨는 이 부동산중개인 쪽이 제시한 여러 후보지 중에서 내곡동을 선택했다고 한다. 이 대통령이나 시형씨가 사저 부지와 경호실 부지를 처음부터 함께 사려고 적당한 터를 물색했다는 뜻이다. 이는 내곡동 땅을 판 원래 주인이 땅을 쪼개지 않고 한꺼번에 팔고 싶어해서 어쩔 수 없이 일괄 계약했다는 청와대 경호처의 설명과 다르다.
청와대는 아직까지 개인 돈과 예산을 뒤섞어 사용한 데 대한 별다른 문제의식을 내보이지 않고 있다. 이 대통령이 아닌 아들 명의를 내세운 대목과 경호시설 터가 지나치게 넓다는 지적에 대해선 재검토 의사를 밝혔지만 사저 땅과 경호시설 일괄구입에 따른 문제점에 대해선 입을 다물고 있다.
그러나 내곡동 땅의 가장 큰 문제점은 공과 사를 구분하지 않고 사실상 예산으로 시형씨의 땅값을 메워준 부분이라는 지적이 많다. 미국의 경우 대통령 전용기도 사적 용도로 쓸 경우엔 임대료를 지불하는 등 예산의 사적 지출을 엄격히 제한한다.
내곡동 땅을 둘러싼 진상이 밝혀질 경우 시형씨 또는 이 대통령이 특혜를 받은 만큼 돈을 토해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질 가능성이 있다. 민주당 한 고위 당직자는 “대통령이라고 해도 사저는 개인 재산이고, 경호실 부지는 국유재산인데 처음부터 개인 돈과 정부 돈을 구분해서 쓸 방법을 고민했어야 한다”고 말했다.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에 있는 노무현 전 대통령 사저는 참고할 만한 사례다. 노 전 대통령이 청와대 총무비서관을 통해 알아본 사저 터를 2006년 10월17일에 계약했다. 청와대 경호처는 2개월 뒤인 12월27일에 현재의 경호시설이 들어선 부지를 별도로 계약했다. 경호처가 구입한 부지는 사저로부터 30m 떨어진 곳에 있다. 24시간 경호를 위한 시설 한 동이 사저 경내에 있지만, 이 건물도 건립 비용은 경호처가 부담했다. 봉하마을 사저에서 노 전 대통령의 비서관을 했던 김경수(44) 봉하재단 사무국장은 “사저와 경호실 부지를 한꺼번에 구입한다는 것은, 우리가 봤을 때는 말이 안 된다”며 “사저 터와 경호실 부지를 한꺼번에 구매해야 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김외현 박태우 기자 oscar@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고은, 난생처음 본 사진가에 파안대소한 까닭은?
■ 박근혜, 나경원과 같이 다녔지만 손 들어주는 ‘장면’은 사양
■ 청, 개인돈·국가돈 뒤섞어 사용…봉하마을과 대조적
■ <불굴의 며느리> 주인공은 GS SHOP?
■ 고종·명성황후 제사 상차림서 사라진 우리 음식 177종 발견
■ 박근혜, 나경원과 같이 다녔지만 손 들어주는 ‘장면’은 사양
■ 청, 개인돈·국가돈 뒤섞어 사용…봉하마을과 대조적
■ <불굴의 며느리> 주인공은 GS SHOP?
■ 고종·명성황후 제사 상차림서 사라진 우리 음식 177종 발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