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 한국콘텐츠진흥원 스튜디오에서 열린 서울시장 보궐선거 범야권 단일후보 선출 토론회에 앞서 야권후보들이 손을 맞잡고 있다. 왼쪽부터 박원순 후보, 박영선 민주당 후보, 최규엽 민주노동당 후보.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범야권 서울시장 후보 TV토론
재벌후원금 놓고 공방
박영선 “재벌기부 반드시 선의로만 하지 않아”
박원순 “선의로 해온 일 공격당해 가슴아프다”
과거행적 싸고 신경전
박영선 “작년 지방선거때 여당 후보 도왔는데”
박원순 “풀뿌리·민주당 후보 더 많이 지원했다”
최규엽 “공공요금 동결하자”…두 박 “동의한다” 범야권 서울시장 후보 단일화 경선을 사흘 앞둔 30일 오후 열린 티브이토론회에서 민주당의 박영선 후보와 시민사회를 대변하는 박원순 후보는 그동안 불거진 각종 쟁점을 놓고 격돌했다. 두 후보는 ‘재벌의 후원’ 문제를 놓고 가장 거세게 맞붙었다. 박영선 후보는 박원순 후보가 아름다운재단을 운영하면서 재벌기업들로부터 ‘묻지마 후원’을 받았다며 의혹을 집중 제기했다. 박영선 후보는 “저는 경제부 기자 시절부터 재벌개혁을 부르짖어왔지만, 박원순 후보는 재벌로부터 후원받으면서 ‘고맙다, 고맙다’ 하며 다녔다”며 “심지어 금융권에 많은 상처를 준 론스타 같은 곳으로부터도 후원을 받았다”고 지적했다. 그러자 박원순 후보는 “재벌 문제는 제가 먼저였다. 소액주주운동 같은 참여연대 활동을 봐도 그렇지 않나”라며 “저도 국정원으로부터 사찰받고 억압받았다”고 되받았다. 이에 박영선 후보가 “(재벌에 대해) 한 손에는 채찍을 들고, 한 손으로는 후원금 받은 것을 시민들이 어떻게 보겠나”라며 “재벌의 후원은 반드시 선의로만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민주노동당의 최규엽 후보도 “박원순 후보가 아름다운재단 하면서 삼성이나 론스타처럼 사회적으로 지탄받는, ‘착한 돈’이 아닌, 말하자면 장물 같은 돈으로 서민에게 행복을 줄 수 있는가”라고 거들었다. 박원순 후보는 “그렇게 받은 재벌의 돈으로 뭘 했는지 말씀드리겠다”며 ‘빛 한줄기 물 한모금 기금’을 통한 단전·단수 가구 수만 세대 지원과 저소득층 싱글맘을 위한 ‘희망가게’ 창업 지원을 예로 들었다. 그래도 재벌 후원에 대한 지적이 이어지자, 박원순 후보는 박영선 후보에 대해 “비비케이 때 공격은 굉장히 통쾌하고 잘했다 생각했는데, 선의로 많은 일을 해온 사람들을 가슴 아프게 공격할 줄은 몰랐다”며 “그런 식으로는 서울시정을 포용하고 ‘엄마 서울’을 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꼬집었다. 박원순 후보의 과거 전력에 대한 문제제기도 이어졌다. 박영선 후보는 “박원순 후보가 지난해 지방선거에선 한나라당 후보 지원 유세도 했고, 보안사 출신 인사를 지원하기도 했다”며 “민주당 철학과는 전혀 안 맞다”고 지적했다. 박원순 후보는 “기초단체장은 정당 공천 자체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보안사 출신이란 과거는 몰랐다”고 해명하고, “당시 민주당 후보나 풀뿌리 후보 지원을 더 많이 했다. 지엽말단을 가지고 (나의) 전체 인생을 해석하는 건 무리”라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박영선 후보는 또 노무현 대통령 탄핵에 대해 박원순 후보가 ‘대통령이 권한을 남용한 탓’이라고 말했다며 정체성에 의문을 제기했지만, 박원순 후보는 “그런 얘기를 한 적이 없다. 당시 탄핵에 대해서는 반대 입장을 밝혔다”고 답했다. 박원순 후보는 2007년 3월 라디오 인터뷰에서 노 대통령 탄핵에 대해 의회의 권한 남용을 지적했는데, 박영선 후보 쪽이 이를 대통령의 권한 남용으로 잘못 안 것이 배경이었다. 박원순 후보는 “제 과거를 다 그렇게 조사했군요”라며 불쾌감을 감추지 않았다.
두 후보는 정부와 민간이 할 일에 대해서도 관점의 차이를 선명히 드러냈다. 박원순 후보는 이명박 정부가 추진한 ‘미소금융’의 맹점을 지적하며 “국가가 관리를 주도하기 때문에 비영리단체의 상상이나 열정이 반영되지 않았다”며 “21세기 행정의 요체는 거버넌스(협치)다. 비영리단체, 시민사회, 기업 모두 힘을 합쳐도 힘든 일이라 정부 혼자서 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박영선 후보는 “정당이 입법이란 그릇을 만들어주면, 각계 전문가 의견을 담아 현실화하는 게 가능해진다”며 “참여정부 시절 중점과제였던 미소금융을 국회에서 입법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고, 그 법에 따라 박원순 후보도 미소금융을 실천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또 “정치가·행정가가 모금전문가와 다른 것은 책임정치를 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정치권의 역할을 강조하기도 했다. 박영선 후보는 이런 관점에서 “시민단체는 비판하는 감시기능에서 나홀로 정치가 가능하지만, 정당정치는 상대를 인정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박원순 후보는 “야권 단일후보 관점에서 보면 (저는) 혼자 뛰는 무소속 후보가 아니라 민주당의 지지도 함께 받는 후보”라며 “제가 이번 경선에서 통과하면 민주당은 지지하지 않는다는 것이냐”고 되받았다. 이날 토론에서 최규엽 민노당 후보는 시장에 당선되면 버스·지하철·수도 등 공공요금을 동결시킬 것을 제안하고, 곧장 두 후보로부터 모두 약속을 받아내 눈길을 끌었다. 최 후보는 서울시 산하 공기업에서 해고된 노동자들의 복직 문제와 노정위원회 설치 문제도 잇따라 제기하며 ‘제3후보’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김외현 이지은 기자 oscar@hani.co.kr
박영선 “재벌기부 반드시 선의로만 하지 않아”
박원순 “선의로 해온 일 공격당해 가슴아프다”
과거행적 싸고 신경전
박영선 “작년 지방선거때 여당 후보 도왔는데”
박원순 “풀뿌리·민주당 후보 더 많이 지원했다”
최규엽 “공공요금 동결하자”…두 박 “동의한다” 범야권 서울시장 후보 단일화 경선을 사흘 앞둔 30일 오후 열린 티브이토론회에서 민주당의 박영선 후보와 시민사회를 대변하는 박원순 후보는 그동안 불거진 각종 쟁점을 놓고 격돌했다. 두 후보는 ‘재벌의 후원’ 문제를 놓고 가장 거세게 맞붙었다. 박영선 후보는 박원순 후보가 아름다운재단을 운영하면서 재벌기업들로부터 ‘묻지마 후원’을 받았다며 의혹을 집중 제기했다. 박영선 후보는 “저는 경제부 기자 시절부터 재벌개혁을 부르짖어왔지만, 박원순 후보는 재벌로부터 후원받으면서 ‘고맙다, 고맙다’ 하며 다녔다”며 “심지어 금융권에 많은 상처를 준 론스타 같은 곳으로부터도 후원을 받았다”고 지적했다. 그러자 박원순 후보는 “재벌 문제는 제가 먼저였다. 소액주주운동 같은 참여연대 활동을 봐도 그렇지 않나”라며 “저도 국정원으로부터 사찰받고 억압받았다”고 되받았다. 이에 박영선 후보가 “(재벌에 대해) 한 손에는 채찍을 들고, 한 손으로는 후원금 받은 것을 시민들이 어떻게 보겠나”라며 “재벌의 후원은 반드시 선의로만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민주노동당의 최규엽 후보도 “박원순 후보가 아름다운재단 하면서 삼성이나 론스타처럼 사회적으로 지탄받는, ‘착한 돈’이 아닌, 말하자면 장물 같은 돈으로 서민에게 행복을 줄 수 있는가”라고 거들었다. 박원순 후보는 “그렇게 받은 재벌의 돈으로 뭘 했는지 말씀드리겠다”며 ‘빛 한줄기 물 한모금 기금’을 통한 단전·단수 가구 수만 세대 지원과 저소득층 싱글맘을 위한 ‘희망가게’ 창업 지원을 예로 들었다. 그래도 재벌 후원에 대한 지적이 이어지자, 박원순 후보는 박영선 후보에 대해 “비비케이 때 공격은 굉장히 통쾌하고 잘했다 생각했는데, 선의로 많은 일을 해온 사람들을 가슴 아프게 공격할 줄은 몰랐다”며 “그런 식으로는 서울시정을 포용하고 ‘엄마 서울’을 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꼬집었다. 박원순 후보의 과거 전력에 대한 문제제기도 이어졌다. 박영선 후보는 “박원순 후보가 지난해 지방선거에선 한나라당 후보 지원 유세도 했고, 보안사 출신 인사를 지원하기도 했다”며 “민주당 철학과는 전혀 안 맞다”고 지적했다. 박원순 후보는 “기초단체장은 정당 공천 자체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보안사 출신이란 과거는 몰랐다”고 해명하고, “당시 민주당 후보나 풀뿌리 후보 지원을 더 많이 했다. 지엽말단을 가지고 (나의) 전체 인생을 해석하는 건 무리”라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박영선 후보는 또 노무현 대통령 탄핵에 대해 박원순 후보가 ‘대통령이 권한을 남용한 탓’이라고 말했다며 정체성에 의문을 제기했지만, 박원순 후보는 “그런 얘기를 한 적이 없다. 당시 탄핵에 대해서는 반대 입장을 밝혔다”고 답했다. 박원순 후보는 2007년 3월 라디오 인터뷰에서 노 대통령 탄핵에 대해 의회의 권한 남용을 지적했는데, 박영선 후보 쪽이 이를 대통령의 권한 남용으로 잘못 안 것이 배경이었다. 박원순 후보는 “제 과거를 다 그렇게 조사했군요”라며 불쾌감을 감추지 않았다.
두 후보는 정부와 민간이 할 일에 대해서도 관점의 차이를 선명히 드러냈다. 박원순 후보는 이명박 정부가 추진한 ‘미소금융’의 맹점을 지적하며 “국가가 관리를 주도하기 때문에 비영리단체의 상상이나 열정이 반영되지 않았다”며 “21세기 행정의 요체는 거버넌스(협치)다. 비영리단체, 시민사회, 기업 모두 힘을 합쳐도 힘든 일이라 정부 혼자서 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박영선 후보는 “정당이 입법이란 그릇을 만들어주면, 각계 전문가 의견을 담아 현실화하는 게 가능해진다”며 “참여정부 시절 중점과제였던 미소금융을 국회에서 입법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고, 그 법에 따라 박원순 후보도 미소금융을 실천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또 “정치가·행정가가 모금전문가와 다른 것은 책임정치를 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정치권의 역할을 강조하기도 했다. 박영선 후보는 이런 관점에서 “시민단체는 비판하는 감시기능에서 나홀로 정치가 가능하지만, 정당정치는 상대를 인정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박원순 후보는 “야권 단일후보 관점에서 보면 (저는) 혼자 뛰는 무소속 후보가 아니라 민주당의 지지도 함께 받는 후보”라며 “제가 이번 경선에서 통과하면 민주당은 지지하지 않는다는 것이냐”고 되받았다. 이날 토론에서 최규엽 민노당 후보는 시장에 당선되면 버스·지하철·수도 등 공공요금을 동결시킬 것을 제안하고, 곧장 두 후보로부터 모두 약속을 받아내 눈길을 끌었다. 최 후보는 서울시 산하 공기업에서 해고된 노동자들의 복직 문제와 노정위원회 설치 문제도 잇따라 제기하며 ‘제3후보’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김외현 이지은 기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