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전대 후보 정책탐구 ① 유승민 의원
양극화 해소정책 비판 반성…안보문제엔 여전히 보수적
양극화 해소정책 비판 반성…안보문제엔 여전히 보수적
‘감세 철회, 무상급식·보육 찬성, 저금리 정책 철회…’
유승민 한나라당 의원의 전당대회 출사표는 주변을 깜짝 놀라게 했다. 그가 ‘주류 중의 주류’였고, 정통 보수 노선을 걸어왔기 때문이다. 유수호 전 신한국당 의원의 아들로, 한국개발연구원(KDI) 선임연구원 출신인 그는 이회창 한나라당 총재 당시 3년여 동안 당 부속 여의도연구소장을 지내며 정책들을 입안했다. 이 전 총재가 2002년 대선에 출마했을 땐 자문 교수단과 특보들의 좌장 구실을 하며 경제 공약개발을 주도했다.
박근혜 전 대표시절 경제 분야를 담당하는 제3정책조정위원장도 그였다. 2007년 한나라당 대선 경선 당시 박 전 대표 캠프의 정책메시지단장을 맡아 ‘줄푸세’(세금은 줄이고 규제는 풀고 법질서는 세운다)로 압축되는 박 전 대표의 정책 전반을 총괄했다.
이런 이력의 그가 대선 경선 뒤 4년의 침묵을 깨고 ‘과감한 정책 좌회전’을 선언한 것이다. 유 의원은 “지금도 누구보다 자유시장 경제를 신봉하고, 성장이란 경제 원칙을 확고히 생각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해진 양극화는 그의 생각을 ‘이대론 안 된다’는 쪽에 이르게 한 것 같다. 그는 “내 주변의 보수 꼴통들이 나더러 좌클릭을 하라고 한다”며 “그들에겐 이렇게 계속 양극화가 깊어지면 정말 우리 사회가 어떻게 될지 모른다는 불안감 같은 게 있다”고 전했다.
그의 방향 전환은 스스로 언급했듯 “순탄하지 않았던 11년의 정치역정”의 결과물이기도 하다. 유 의원은 “한나라당이 야당 시절 김대중, 노무현 정부의 복지 정책과 양극화 해소 정책을 너무 강하게 비판했던 부분은 반성하고 있다”고 했다.
‘줄푸세’ 공약에 관해서도 그는 “2008년 금융위기 뒤 재정 적자가 치솟는 걸 보고 감세 주장은 접었다”고 말했다. 한 측근은 “유 의원의 공약은 자기 고백이자 성찰”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안보 문제엔 보수적 정체성을 확실히 한다. 국회 국방위원인 그는 지난해 연평도 사태 당시 “자위권을 행사했어야 한다”고 했다. 북한 인권법 역시 제정해야 한다는 게 소신이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