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저축 감사 관련발언 공방
김총리 “감사 저항…권력실세 아니다”
김총리 “감사 저항…권력실세 아니다”
김황식 국무총리는 2일 국회 정치분야 대정부질문 답변에서 “(감사원장 재직 시) 저축은행 감사 과정에 굉장한 감사 저항이 있었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저축은행 감사와 관련해 “오만 군데서 압력을 받았다”고 지난 2월 말한 것을 두고 “저축은행 감사에 저항하는 일정 그룹, 세력이 행하는 일체의 어필 또는 청탁을 표현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여야에서 의문을 제기하는 것처럼 어떤 권력기관, 여야 의원의 압력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청와대나 여권 실세 등의 압력 행사는 없었다는 것이다.
김성조 한나라당, 이석현 민주당 의원 등 ‘오만 군데’의 실체를 밝히라는 여야의 공세가 거듭되자, 김 총리는 ‘두세 군데’를 지목했다. 그는 “(김종창) 금융감독원장이 면담을 신청했지만, 시중에서 감사원이 어떻게 감사하는지 의구심도 있어 거절했다”며 “감사 저지를 위한 듯한 요청이 많다고 해 감사원 직원들에게 흔들리지 말라고 했다”고 답했다.
또 김 총리는 “저축은행에 종사하는 친지한테서 ‘감사원이 왜 나서느냐. 월권이다’라는 말도 들었다”고 했다. 그는 “감사원이 민간 저축은행을 왜 감사하느냐”는 불만과 “감사원이 너무 엄정하게 하면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으로 이어져 경제에 큰 혼란이 올 수 있으니 감사를 자제해줬으면 좋겠다”는 두 가지 이유로 감사 저항이 많았다고 전했다. 그럼에도 추궁이 잇따르자 “오공공공공의 ‘오만’이 아니다. 전라도 말로 여기저기를 말한다”라며 항변하기도 했다.
김 총리는 여야가 합의한 ‘저축은행 국정조사’에 증인으로 출석할 것이냐는 김성조 의원의 질문에 “저의 설명으로 국민과 의원들이 납득하게 될 것이라서 국정조사에 나갈 일은 없으리라 확신한다”고 답했다.
김 총리는 또 은진수 전 감사위원의 비위 사실을 적발하지 못했다는 추궁도 받아야 했다. 김 총리는 “감사원에 같이 있었던 사람으로서 정말 부끄럽다. 도의적 책임을 느낀다”고 사과했다. 김 총리는 “(관리감독) 책임자를 임명한 대통령에게 법률적 책임은 아니지만 도의적 책임은 있다”고도 말했다.
감사원의 저축은행 감사는 지난해 1월부터 넉달 동안 진행되고, 보고는 12월 이뤄졌다. 은 전 감사위원은 그해 1억7천만원의 뇌물을 부산저축은행 쪽으로부터 받은 혐의로 최근 구속됐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