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국, 예술인복지법 처리 촉구
야당, 고용·산재 혜택 대책 요구
야당, 고용·산재 혜택 대책 요구
시나리오 작가 최고은(32)씨가 생활고로 숨진 사건을 계기로 정치권 등에서 고용·산재보험 혜택 등 예술인 지원방안 논의가 활발하다.
정병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10일 열린 ‘2011 콘텐츠 정책 대국민 업무보고회’에서 “(제가)국회에서 ‘예술인복지법안’을 발의해 놓고도 상임위원장으로서 처리 못 한 것이 안타깝다”며 “영화산업 근로자의 처우 개선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문화예술특위위원장인 정두언 의원도 지난 9일 트위터에 “최고은 작가의 안타까운 죽음이 아직껏 긴 여운을 남기고 있네요… 우리의 양심을 때립니다”라고 애도했다.
전병헌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이날 고위정책회의에서 최씨의 죽음에 애도를 표하면서 “국회가 정상화되면 영화인 실업구조제도 등 문화콘텐츠 산업 노동자의 기본권을 보장하는 정책과 법안을 최우선으로 다루겠다”고 밝혔다. 민노당과 진보신당도 지난 9일 논평을 통해 ‘예술인사회보장제도’ 등 대책을 요구했다.
현재 국회에는 정 장관과 서갑원 전 민주당 의원이 2009년 10월 각각 대표발의한 ‘예술인 복지법안’ 2개가 제출돼 있다. 두 법안 모두 △문화예술인을 근로자로 인정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 가입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설립 및 기금 마련 등을 뼈대로 하고 있다. 예술인들이 공연 도중 사고를 당해도 산재 혜택을 받지 못하는 현실 등을 개선하자는 취지다. 국회 문방위 검토보고서를 보면, 2007년 문화예술인들의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가입률은 각각 70.2%, 99%이지만 고용 및 산재보험 가입률은 둘 다 33.3%에 불과하다.
두 법안 모두 지난해 2월과 11월 논의된 이후 진전이 없는 상태다. 문방위는 지난해 2월 법률안 검토보고서를 통해 “창작 환경조성과 복지 증진을 위해 바람직하다”면서도 예술인의 범위를 확정할 필요성 등을 지적했다.
고나무 노형석 기자 dokko@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해적이 금미호 선원 124일만에 석방한 이유는
■ 술생각 줄이는 쌀 나왔다
■ [이명수의 사람그물] ‘내가 해봐서 아는데’ 소통법
■ ‘카렌스를 넘어라’ 쉐보레 올란도 첫시승기
■ 가축 묻고 학생은 집으로 ‘텅 빈 교정’
■ 여의도백화점 ‘폭발물 소동’ 상자 열었더니…‘현금 10억’ 누구 돈일까
■ 경복고가 기가막혀…역도부 폭력사태에 “모든 동아리 해체”
■ 술생각 줄이는 쌀 나왔다
■ [이명수의 사람그물] ‘내가 해봐서 아는데’ 소통법
■ ‘카렌스를 넘어라’ 쉐보레 올란도 첫시승기
■ 가축 묻고 학생은 집으로 ‘텅 빈 교정’
■ 여의도백화점 ‘폭발물 소동’ 상자 열었더니…‘현금 10억’ 누구 돈일까
■ 경복고가 기가막혀…역도부 폭력사태에 “모든 동아리 해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