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맨 왼쪽)가 19일 오전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진행한 지식경제위 소속 민주당 의원들과 함께 기자간담회를 열어 최 후보자의 사퇴를 촉구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지식경제위 민주당 간사인 조경태 의원, 김영환 지경위 위원장. 앞쪽 옆모습은 김진표 의원.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민노-진보신당 등 진통끝 오늘 ‘8자 연석회의’
시민모임 ‘백만송이 국민의 명령’도 첫 토론회
시민모임 ‘백만송이 국민의 명령’도 첫 토론회
여러 갈래로 진행돼온 야권통합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민주당이 최근 ‘야권연합추진특위’를 꾸린 가운데 진보정당과 시민단체들이 독자적인 연석회의 구성에 합의했다. 또 야권 단일정당을 기치로 내건 ‘백만송이 국민의 명령’ 등 아래로부터의 통합 압력도 커진다.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사회당 등 진보정당들과 민주노총, 농민단체, 빈민단체는 20일 국회에서 ‘새 진보정당 건설 진보대통합 논의를 위한 8자 연석회의’를 연다. 참여 주체를 둘러싼 오랜 이견이 해소돼 연석회의가 출범하면서 진보정당 통합 논의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이들은 ‘상층중심 통합’을 넘어 비정규직 등 구체적인 정책 현안을 두고 대중적 운동을 벌이는 ‘아래로부터의 통합’ 운동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백만송이 국민의 명령’(대표 문성근)은 19일 김대중 도서관에서 ‘왜 야권 단일정당인가’란 이름으로 첫 정책토론회를 열어 야권 단일정당의 가능성과 절차, 정책방향 등을 논의했다. 학자들과 함께 천정배 민주당 최고위원, 정성희 민주노동당 최고위원, 천호선 국민참여당 최고위원, 박용진 진보신당 부대표도 참석해 야권 통합과 연대 방안을 두고 토론을 벌였다.
천정배 최고위원은 “야 4당과 시민사회의 지향은 한나라당과의 차이를 생각하면 별로 크지 않다. 차이를 인정하면서 내부협의 민주주의나 정파등록제를 시행하는 것도 괜찮은 방안”이라며 야권 단일정당 건설에 동의했다. 그러나 정성희 민노당 최고위원이 “이념과 정책이 다르다”고 발언하는 등 진보정당과 참여당 참석자들은 ‘통합’보다 ‘연대’에 무게를 실었다.
토론회에선 야권 단일정당의 지향과 운영방식도 구체적으로 제시됐다. 김두수 사회디자인연구소 이사는 야권 단일정당이 ‘반한나라당’ 구호를 넘어 ‘격차사회’를 해결할 야권의 공통 대안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조기숙 이화여대 교수는 열린우리당의 실패를 언급하며 ‘정파등록제’ 등 야권 단일정당이 현실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운영방식을 제안했다.
한편 민주당은 지난 13일 ‘민주주의·민생복지·한반도평화를 위한 범국민연대와 야권연합 추진 특별위원회’(위원장 이인영 최고위원) 첫 회의를 열어 야권통합 논의를 시작했다. 민주당에선 무상복지론 등 최근의 ‘복지 논쟁’이 야권통합 논의에 탄력을 줄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한 핵심 당직자는 “민주당이 무상복지론 당론 채택에 이어 비정규직 문제 등 노동분야에서도 전향적인 정책을 확정한다면 진보정당들도 마음을 열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민주당 ‘연대·연합특위’ 간사인 임종석 전 의원은 이날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현재 진보정당 사이에 통합논의가 벌어지고 있어 당장 급하게 민주당이 (야권) 조직개편에 본격적으로 나서기보다 비정규직 대책 등을 다른 야당과 공통으로 만들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진보적 정책’을 고리 삼아 통합·연대를 추진하겠다는 취지다. 고나무 기자 dokk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