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가 24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하기에 앞서 생각에 잠겨 있다(왼쪽). 이용섭 민주당 의원이 김 후보자에게 “신고 재산이 지난 3년7개월간 10배로 증가했는데 자금의 출처가 밝혀지지 않았다”며 “2억원 이상의 자금을 스폰서한테서 받은 것 아니냐”고 묻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박영선 의원 “당시 부군수가 1심재판서 진술”
김 후보 “사실이라면 사퇴하겠다” 의혹 부인
김 후보 “사실이라면 사퇴하겠다” 의혹 부인
박영선 민주당 의원은 김 후보자가 2005년 재산신고에서 7000만원을 ‘사인간의 채무’로 신고한 것과 관련해, “김 후보자는 (거창군 지역 건설업체인) ㅎ종건의 최아무개 대표에게 빌렸고 모두 갚았다고 하지만, 영수증은 없다고 답했다”며 “자료 제출을 하지 않는 이유가 따로 있는 것 아니냐”고 따졌다. 박 의원은 “7000만원을 언제 갚았는지 영수증을 내라. 이 돈을 안 갚았다면 뇌물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ㅎ종건은 김 후보자가 거창군수로 재임하던 2003년 태풍 ‘매미’ 피해 복구 사업 때 거창군과 불법적인 수의계약을 한 혐의를 받아, 감사원 감사와 검찰 수사를 받은 업체이다. 박 의원은 “당시 ㅎ종건에 수의계약 특혜를 준 혐의로 기소된 전 거창군 부군수는 1심 재판 과정에서 ‘군수 지시로 했다’고 진술하다가 2심에서 진술 내용을 번복했다”며 김 후보자와 ㅎ종건 최 대표의 유착 의혹을 거듭 추궁했다. 실제 당시 창원지법은 거창군 등 경남지역 4개군 부군수와 직원 12명이 기소된 이 사건과 관련해 최 부군수에게 선고유예를 내리며 그 이유로 “거창군수의 적극적인 선시공 지시에 따라 이 사건 범죄를 저지른 점”을 들었다. 건설업체의 설명을 종합하면, ‘선시공’이란 ‘설계→견적→입찰→업체 선정’ 등의 일반적인 과정을 거치지 않고 ‘구두로 특정업체에 공사를 지시’했음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해 당시 창원지검 특수부장으로 수사를 담당했던 남아무개 변호사는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사건이 기억나지 않는다. 수사검사에게 물어보라”고 답했다. 당시 수사를 맡은 최아무개 대전지검 검사는 비서를 통해 “할 말이 없다”며 답변을 회피했다.
박 의원은 또 “최 부군수는 2심에서 자격정지 1년에 선고유예 판결을 받은 직후 4급 서기관에서 3급 부이사관으로 승진했다”고 폭로하며, 당시 군수였던 김 후보자의 배후설을 거듭 주장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자는 “의혹이 사실이면 사퇴하겠다. (최 대표에게 빌린 돈에 대해서는) 이자까지 입금한 내역이 있다”고 의혹을 강력 부인했다.
이용섭 민주당 의원도 ‘스폰서’ 의혹을 거듭 추궁했다. 이 의원은 “왜 사람들은 (후보자를) ‘스폰서 총리’라고 부르겠나. 도지사 재임하던 3년7개월 동안 재산이 10배 늘었는데 자금 출처가 안 나온다”며 “2007년부터 2010년까지 3년7개월 동안 후보자의 순소득은 2억6200만원인데 순재산 증가가 2억6100만원에 달한다. 소득을 가지고 재산 늘리는 데 다 쓰고 생활비는 한푼도 없는 것 아니냐”고 물었다. 이 의원은 배우자가 명품 가방을 소유한 점, 해외 여행이 잦은 점도 의심스럽다고 꼽았다. 김 후보자는 “생활비가 보통 400만~500만원이다. 생활이 가능하다”며 “증빙 자료를 내겠다. (이 의원이 계산한) 생활비가 제 계산과 다르다”고 답했다. 조순형 자유선진당 의원은 “2006년에 은행에서 선거자금 6억원을 빌리면서 선거자금 명목임을 알리지 않은 것은 용도 허위기재로 은행법 위반”이라고 주장했다.
고나무 기자 dokk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