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의원 43명 “표적사정 중단” 민주당 김상희 의원(왼쪽 넷째) 등 소속 의원들이 6일 오전 국회에서 한명숙 전 총리에 대한 검찰의 금품수수 의혹 조사를 표적사정으로 규정하고 ‘검찰과 언론의 정치공작’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책위, 조선·중앙 등 ‘검찰발 받아쓰기’에 대처키로
민주당, 검찰개혁 재점화…피의사실 공표 추궁방침
민주당, 검찰개혁 재점화…피의사실 공표 추궁방침
“한 번은 당했지만 두 번 당하진 않겠다.”
한명숙 전 국무총리가 불법 정치자금을 수수했다는 내용이 사실도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검찰발로 잇따라 보도되자, 한 친노 인사는 6일 <한겨레> 기자와 한 통화에서 이렇게 말했다. 지난 5월, 검찰의 ‘정치 보복성 수사’로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서거했을 땐 “지켜주지 못해 미안하다”고 통곡했지만,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진 않겠다는 얘기다.
노무현 재단과 민주당은 이날 “한 전 총리에 대한 검찰과 일부 언론의 근거 없는 ‘흠집내기’를 결코 좌시하지 않겠다”며 반격에 나섰다. 민주당 등 야권과 여성계, 시민사회 인사 등은 7일 ‘한명숙 전 총리에 대한 정치공작분쇄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양정철 노무현 재단 사무처장은 “비대위는 이해찬 전 총리가 위원장을 맡고, 문재인·이병완 전 대통령 비서실장과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 정연주 전 <한국방송> 사장, 최민희 전 방송위원회 부위원장 등 각계 인사 10여명이 상임위원으로 참여하게 될 것”이라며 “7일 첫 회의를 열어 대응 방안과 결의문 채택 등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한 전 총리 관련 보도를 이어가고 있는 <조선일보>, <중앙일보> 등에 대해서도 단호한 법적 대응을 벼르고 있다. <조선일보>는 “한 전 총리가 곽영욱 전 대한통운 사장으로부터 수만달러를 받았다”고 보도한 데 이어 “다음주께 한 총리가 검찰에 소환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중앙일보>도 “곽 사장이 한국남동발전 사장으로 취임할 수 있도록 한 전 총리가 추천서를 써줬다”고 보도했다.
양정철 사무처장은 “한 전 총리는 돈을 받은 일이 전혀 없을뿐더러, (추천서를 써줬다는 것은) 청와대의 인사 시스템을 전혀 모르는 소리”라며 “조선일보가 7일치 신문에 한 전 총리의 반론을 게재하지 않으면 곧바로 법적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앞으로 검찰이 ‘흘리는’ 내용을 받아쓰기하듯 그대로 보도하는 언론에 대해서도 일일이 법적 대응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민주당도 ‘한명숙 죽이기’ 저지에 힘을 보태기로 했다. 민주당 의원 43명은 6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검찰과 일부 언론은 민주당의 유력한 서울시장 후보인 한 전 총리를 흠집내는 데 열을 올리고 있다”며 “정권이 사주하고 검찰이 흘리며, 언론이 부풀리는 추악한 정치공작, 언론 공작은 이제 종식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한 전 총리에 대한 정치공작 즉각 중단 △검찰총장의 사과와 불법적인 언론공작에 관여한 책임자들에 대한 처벌 △<조선일보>의 반론권 수용과 사과 등을 요구했다.
민주당은 7일 최고위원회와 의원총회를 열어 당 차원의 대응 방법을 논의하는 한편, 이날 열리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검찰을 상대로 한 전 총리에 대한 피의사실 공표 문제를 집중 추궁할 방침이다. 민주당은 특히 이번 사태를 계기로 대형 이슈에 묻혀 잊혀져 가는 검찰개혁 논의에 다시 불을 지피기로 했다. 김상희 의원은 “이번에는 한나라당도 검찰개혁특위 구성을 외면하지 못할 것”이라며 “당 차원에서 총력 투쟁을 결의하겠다”고 말했다. 이정애 기자 hongbyul@hani.co.kr
민주당은 7일 최고위원회와 의원총회를 열어 당 차원의 대응 방법을 논의하는 한편, 이날 열리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검찰을 상대로 한 전 총리에 대한 피의사실 공표 문제를 집중 추궁할 방침이다. 민주당은 특히 이번 사태를 계기로 대형 이슈에 묻혀 잊혀져 가는 검찰개혁 논의에 다시 불을 지피기로 했다. 김상희 의원은 “이번에는 한나라당도 검찰개혁특위 구성을 외면하지 못할 것”이라며 “당 차원에서 총력 투쟁을 결의하겠다”고 말했다. 이정애 기자 hongby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