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원희룡 의원
한나라당 초선의원 모임 ‘민본21’이 당·정·청 쇄신을 요구하고 나선 움직임에는 한나라당에서 내부 개혁 드라이브가 오랜만에 되살아났다는 의미도 담겼다. 18대 국회 들어 친이, 친박 간 계파 알력만 무성한 가운데 수구보수 이미지를 깨자는 소장파 운동의 맥은 끊긴 상태였기 때문이다. 남경필 정병국 의원 등과 함께 ‘원조 쇄신파’로 꼽히는 원희룡(사진) 의원은 5일 <한겨레> 인터뷰에서 남다른 소회를 느낀다면서 “초선의원들의 문제제기에 적극 공감한다”고 밝혔다.
“부자만 위하는 정책기조가 문제
친박에게 당직 준다고 해결 안돼” -민본21의 주장에 구체성이나 대안이 결여되어 있다는 시각도 있다. “초선 의원들이 그 정도 이야기하면 잘하는 거다. 대안까지 초선한테 마련하라는 건 무리다.” -청와대가 쇄신 요구에 부정적이다. “국민들이 마음 속에서 불편해하는 것을 외면하면 국민은 그 집단을 또 심판한다. 그런 악순환으로 가지 않도록 첫 단추를 잘 꿰어나가야 한다.”
-정책기조는 바꾸지 않고, 친박 성향 인사를 원내대표를 비롯한 몇몇 당직에 안배하는 봉합 방안이 벌써부터 거론된다. “청와대로선 그쪽이 쉬울 것이다. 속도전으로 국정 2년차 성과를 내겠다는 기조를 바꾸고 싶진 않을 테니까. 그러나 지금의 당내 갈등은 친박 인사한테 당직 몇개를 준다고 해결될 성격이 아니다. 근본적으로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 간 신뢰 회복이 전제돼야 하는데 지난 2년 간 그게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이런 상태에서 친박 인사의 전진 배치가 성사되기 어렵고, 설령 성사되더라도 ‘왜 여전히 협조 않느냐’라는 등의 시비와 다툼이 끊이지 않을 것이다. 굉장히 불안정한 타협이 될 수밖에 없다. -해결 우선순위를 어떻게 보나. “국민들한테는 정책기조 문제가 더 중요하고 심각하다. 저희 지역구만 해도 왜 부자들한테 양도세를 깎아주느냐, 사교육비는 제대로 줄일 수 있는 거냐라는 지적이 많다. 민본21이 ‘중도실용으로의 복귀’를 주장한 것도 ‘부자를 위한 정권’이라는 의구심을 우려한 것인데, 그 지적을 겸허히 수용해야 한다.” -원조 쇄신파로서 이번 초선의원들의 문제제기를 보는 소회는. “당내에서 공감대를 얻으면서 일단 시작을 아주 잘했다. 나도 적극적으로 힘을 보태겠다.” 박창식 선임기자 cspcsp@hani.co.kr
친박에게 당직 준다고 해결 안돼” -민본21의 주장에 구체성이나 대안이 결여되어 있다는 시각도 있다. “초선 의원들이 그 정도 이야기하면 잘하는 거다. 대안까지 초선한테 마련하라는 건 무리다.” -청와대가 쇄신 요구에 부정적이다. “국민들이 마음 속에서 불편해하는 것을 외면하면 국민은 그 집단을 또 심판한다. 그런 악순환으로 가지 않도록 첫 단추를 잘 꿰어나가야 한다.”
-정책기조는 바꾸지 않고, 친박 성향 인사를 원내대표를 비롯한 몇몇 당직에 안배하는 봉합 방안이 벌써부터 거론된다. “청와대로선 그쪽이 쉬울 것이다. 속도전으로 국정 2년차 성과를 내겠다는 기조를 바꾸고 싶진 않을 테니까. 그러나 지금의 당내 갈등은 친박 인사한테 당직 몇개를 준다고 해결될 성격이 아니다. 근본적으로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 간 신뢰 회복이 전제돼야 하는데 지난 2년 간 그게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이런 상태에서 친박 인사의 전진 배치가 성사되기 어렵고, 설령 성사되더라도 ‘왜 여전히 협조 않느냐’라는 등의 시비와 다툼이 끊이지 않을 것이다. 굉장히 불안정한 타협이 될 수밖에 없다. -해결 우선순위를 어떻게 보나. “국민들한테는 정책기조 문제가 더 중요하고 심각하다. 저희 지역구만 해도 왜 부자들한테 양도세를 깎아주느냐, 사교육비는 제대로 줄일 수 있는 거냐라는 지적이 많다. 민본21이 ‘중도실용으로의 복귀’를 주장한 것도 ‘부자를 위한 정권’이라는 의구심을 우려한 것인데, 그 지적을 겸허히 수용해야 한다.” -원조 쇄신파로서 이번 초선의원들의 문제제기를 보는 소회는. “당내에서 공감대를 얻으면서 일단 시작을 아주 잘했다. 나도 적극적으로 힘을 보태겠다.” 박창식 선임기자 cspcsp@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