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대연합론' 제기..정치권 촉각
5.31 지방선거를 목전에 두고 정계에 `빅뱅론'이 솔솔 피어오르고 있다.
지방선거가 끝나면 정치권에 대규모 지각변동이 일어나 정국이 완전히 새로운 질서로 재편될 것이라는게 빅뱅론의 골자다.
진원지는 여당이다. 열린우리당 정동영(鄭東泳) 의장은 전날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정치권에 빅뱅이 올 수도 있다"고 말한데 이어, 24일 전남 광양지역 유세에서 "지방선거 이후 한나라당의 집권을 반대하는 세력과 함께 해 민주개혁세력 대연합을 추진하겠다"고 발언의 수위를 한층 높였다.
물론 빅뱅론 내지 정계개편론 자체는 새로운 얘기가 아니지만 집권여당 대표가, 그것도 지방선거에 임박해 정계개편 가능성을 시사했다는 점에서 발언의 의미와 무게감이 매우 커 보인다는게 정치권의 관측이다.
특히 정 의장은 여권 최대의 화두인 `민주당과의 당대당 통합론'까지 아우르는 민주개혁세력 대연합론을 정계개편의 `방향'으로 적시하고 나섬으로써 정계개편 논의가 급속히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쳐진다.
◇ 여당의 `생존전략' = 일단 정의장의 발언은 당장 코앞으로 닥친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지층 결집을 호소하려는 `선거용'의 성격이 강해 보인다. 사실상의 `완패' 위기에 내몰린 우리당이 살아남을 수 있도록 전통적 지지기반인 호남이 도와달라는 호소인 셈이다.
특히 정 의장이 "민주당과 함께 할 수 있을 것"이고 직접 언급한 점은 양당 통합론에 찬성하는 경향이 두드러진 호남표심을 직접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정 의장의 발언은 선거용 차원을 넘어 훨씬 더 고차원의 정치적 함의를 띠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무엇보다도 정 의장의 정계개편론 제기는 여당의 `생존전략'과 직결돼있다는 관측이 높다. 현 판세대로 선거를 치르게 되면 여당은 사실상 `전패'나 다름없는 참패가 불가피하고, 이 경우 정국 주도권을 상실한 채 거의 `무방비' 상태로 정계개편의 흐름에 휩쓸릴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여당으로서는 일종의 `선제적 대응' 차원에서 정계개편론의 `애드벌룬'을 미리 띄우고 새틀짜기 작업의 주도권을 쥐고나겠다는 의도라는 얘기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 한귀영 연구위원은 "우리당 상황은 2004년 총선때의 한나라당과 똑같다"고 전제하고 "여당이 미궁에서 헤쳐나오려면 정국운영의 `동력'이 필요한데, 그 동력을 `내부'가 아닌 `외부'에서 찾으려는 의도"라고 말했다. ◇ `보수 대 진보' 대선구도 짜기 = 정 의장이 `민주개혁세력의 대연합'이라는 정개개편의 `모델'을 제시하고 나선 것은 차기 대선구도를 겨냥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는 지난 2월 전당대회 과정에서 제기된 `범민주세력 대통합론'의 연장선상으로 사실상 향후 정국 구도를 `보수 대 진보' 로 재편하겠다는 포석을 이면에 깔고 있다는 것이다. 여당의 한 전략통은 "정국운영과 차기대선을 반한나라 전선으로 치르겠다는 장기적 구상의 일환"이라며 "한나라당과의 대치전선을 통해 밑바닥으로 추락한 여당의 위기를 돌파하고 정국주도권을 유지해나가겠다는 의지가 담겨있다"고 말했다. 장영달(張永達)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선거이후) 대통합쪽으로 갈 수밖에 없는 거 아니냐"며 "어차피 한나라당에 대응하기 위한 `제민주세력 연합체' 구성을 해야하고 그런 구도 하에서 대선을 치러야 한다"고 말했다. ◇ 여당내 선거책임론 갈등 대비 = 그러나 정의장의 이 같은 발언이 선거 이후 불거질 책임논란에 대비하려는 포석을 깔고 있다는 분석도 여당 주변에서 나온다. 선거패배가 기정사실화되는 흐름 속에서 이번 선거를 진두지휘해온 정의장으로서는 미리 여권의 위기해법으로 정계개편론을 내걸고 리더십의 위기를 정면 돌파하려는 의도를 내보인 것이라는 분석이다. 그러나 여당내에서 김근태(金槿泰)계를 비롯한 다른 계파가 정의장이 구상하는 정국운영 기조에 어느정도 호응할지는 미지수라는 분석이 적지 않다. 우리당의 한 관계자는 "현재 당내 분위기는 이대로는 도저히 대선을 치를 수 없는 만큼 모든 걸 다 바꿔야 한다는 분위기와 현실적으로 `대안'이 없는 만큼 제세력이 다시금 단결하자는 분위기가 팽팽히 맞서고 있다"고 전했다. ◇ 민주당 `발끈'. 고건 `침묵' = 그러나 정 의장이 펴놓은 `대연합론'에 대한 정치권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당장 정의장이 통합의 대상으로 거론한 민주당은 "택도 없는 소리"라고 반발하고 있다. 유종필(柳鍾珌) 대변인은 논평에서 "없어질 당과의 통합은 있을 수 없다"며 "통합의 뜻이 있다면 분당에 대한 사과부터 하고 우리당을 해체한 이후 친정인 민주당으로 원대복귀하라"고 촉구했다. 대연합론의 중심고리로 거론되는 고건(高建) 전총리측도 "공식으로 제의를 받은 것이 아니어서 뭐라고 얘기할 입장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나라당 = 한나라당은 정의장의 발언을 지방선거 참패에 대한 책임을 모면하기 위한 얄팍한 술책이라며 "절대 성공할 수 없다"고 일축했다. 일각에서는 아예 우리당이 지방선거후 자동 소멸될 것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이방호(李方鎬) 정책위의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우리당이 선거패배후 당을 재건축하려는 모양인데 한마디로 정 의장식 정계개편은 힘들다고 본다"면서 "정계개편이라는 것은 중심축이 힘이 있을 때 가능한데 지금 여당은 풍비박산되기 일보 직전으로 그럴 만한 구심력이 없다"고 지적했다. 노효동 기자 rhd@yna.co.kr (서울=연합뉴스)
특히 정 의장이 "민주당과 함께 할 수 있을 것"이고 직접 언급한 점은 양당 통합론에 찬성하는 경향이 두드러진 호남표심을 직접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정 의장의 발언은 선거용 차원을 넘어 훨씬 더 고차원의 정치적 함의를 띠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무엇보다도 정 의장의 정계개편론 제기는 여당의 `생존전략'과 직결돼있다는 관측이 높다. 현 판세대로 선거를 치르게 되면 여당은 사실상 `전패'나 다름없는 참패가 불가피하고, 이 경우 정국 주도권을 상실한 채 거의 `무방비' 상태로 정계개편의 흐름에 휩쓸릴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여당으로서는 일종의 `선제적 대응' 차원에서 정계개편론의 `애드벌룬'을 미리 띄우고 새틀짜기 작업의 주도권을 쥐고나겠다는 의도라는 얘기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 한귀영 연구위원은 "우리당 상황은 2004년 총선때의 한나라당과 똑같다"고 전제하고 "여당이 미궁에서 헤쳐나오려면 정국운영의 `동력'이 필요한데, 그 동력을 `내부'가 아닌 `외부'에서 찾으려는 의도"라고 말했다. ◇ `보수 대 진보' 대선구도 짜기 = 정 의장이 `민주개혁세력의 대연합'이라는 정개개편의 `모델'을 제시하고 나선 것은 차기 대선구도를 겨냥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는 지난 2월 전당대회 과정에서 제기된 `범민주세력 대통합론'의 연장선상으로 사실상 향후 정국 구도를 `보수 대 진보' 로 재편하겠다는 포석을 이면에 깔고 있다는 것이다. 여당의 한 전략통은 "정국운영과 차기대선을 반한나라 전선으로 치르겠다는 장기적 구상의 일환"이라며 "한나라당과의 대치전선을 통해 밑바닥으로 추락한 여당의 위기를 돌파하고 정국주도권을 유지해나가겠다는 의지가 담겨있다"고 말했다. 장영달(張永達)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선거이후) 대통합쪽으로 갈 수밖에 없는 거 아니냐"며 "어차피 한나라당에 대응하기 위한 `제민주세력 연합체' 구성을 해야하고 그런 구도 하에서 대선을 치러야 한다"고 말했다. ◇ 여당내 선거책임론 갈등 대비 = 그러나 정의장의 이 같은 발언이 선거 이후 불거질 책임논란에 대비하려는 포석을 깔고 있다는 분석도 여당 주변에서 나온다. 선거패배가 기정사실화되는 흐름 속에서 이번 선거를 진두지휘해온 정의장으로서는 미리 여권의 위기해법으로 정계개편론을 내걸고 리더십의 위기를 정면 돌파하려는 의도를 내보인 것이라는 분석이다. 그러나 여당내에서 김근태(金槿泰)계를 비롯한 다른 계파가 정의장이 구상하는 정국운영 기조에 어느정도 호응할지는 미지수라는 분석이 적지 않다. 우리당의 한 관계자는 "현재 당내 분위기는 이대로는 도저히 대선을 치를 수 없는 만큼 모든 걸 다 바꿔야 한다는 분위기와 현실적으로 `대안'이 없는 만큼 제세력이 다시금 단결하자는 분위기가 팽팽히 맞서고 있다"고 전했다. ◇ 민주당 `발끈'. 고건 `침묵' = 그러나 정 의장이 펴놓은 `대연합론'에 대한 정치권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당장 정의장이 통합의 대상으로 거론한 민주당은 "택도 없는 소리"라고 반발하고 있다. 유종필(柳鍾珌) 대변인은 논평에서 "없어질 당과의 통합은 있을 수 없다"며 "통합의 뜻이 있다면 분당에 대한 사과부터 하고 우리당을 해체한 이후 친정인 민주당으로 원대복귀하라"고 촉구했다. 대연합론의 중심고리로 거론되는 고건(高建) 전총리측도 "공식으로 제의를 받은 것이 아니어서 뭐라고 얘기할 입장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나라당 = 한나라당은 정의장의 발언을 지방선거 참패에 대한 책임을 모면하기 위한 얄팍한 술책이라며 "절대 성공할 수 없다"고 일축했다. 일각에서는 아예 우리당이 지방선거후 자동 소멸될 것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이방호(李方鎬) 정책위의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우리당이 선거패배후 당을 재건축하려는 모양인데 한마디로 정 의장식 정계개편은 힘들다고 본다"면서 "정계개편이라는 것은 중심축이 힘이 있을 때 가능한데 지금 여당은 풍비박산되기 일보 직전으로 그럴 만한 구심력이 없다"고 지적했다. 노효동 기자 rhd@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