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은 14일 한 온라인 매체가 이태원 참사 유족의 동의를 구하지 않은 채 희생자 155명의 실명을 공개한 것과 관련해 “유족의 권리마저 빼앗은 무도한 행태”라고 비판했다.
박정하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유족 동의 없는 희생자 명단 공개가 유족에게 얼마나 큰 아픔인지 가늠하기조차 힘들다”라며 “2차 가해도 언론의 자유라고 보장해줘야 하는가? 이건 자유의 영역이 아닌 폭력이고 유족의 권리마저 빼앗은 무도한 행태다”라고 말했다. 이어 “유족 동의 없는 희생자 명단 공개라는 용납할 수 없는 행태를 설계했던 것은 민주당”이라며 “지금은 온라인 매체 뒤에 숨어 방조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민주당도 공범”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이날 오전 온라인 매체 ‘시민언론 민들레’는 한동훈 법무부 장관의 ‘청담동 술자리 의혹’ 의혹을 보도한 ‘시민언론 더탐사’와 협업해 참사 희생자 155명의 명단을 공개했다. 이들은 유족의 동의를 구하지 않은 실명 공개에 대해 “유가족협의체가 구성되지 않아 이름만 공개하는 것이라도 유족들께 동의를 구하지 못한 점에 대해서는 깊이 양해를 구한다”고 밝혔다.
주호영 원내대표도 이 매체가 “법적 책임을 져야 한다”며 일방적인 희생자 명단 공개를 비판했다. 주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여야 원내대표 회동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유족 대부분이 공개를 원치 않는 것을 누가 함부로 공개했는지, 여러 가지 법률적인 문제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어떻게든 유족을 자꾸 모아 정치적인 도모를 하려는 사람들이 저런 짓을 하는 게 아닌가 하는 시각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주 대표는 “법적 책임이 있다면 책임을 져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도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정의당은 유가족 동의 없는 명단 공개에 강한 유감을 표한다”며 “이번 명단 공개로 또 다른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그리고 유가족의 상처가 더 깊어지지 않도록 많은 언론과 국민들께서 함께 도와주시기를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선담은 기자
s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