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이은주 비상대책위원장이 14일 국회에서 열린 정의당 10년평가위원회 주관 '존망의 기로, 정의당을 말하다'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정의당이 노동 현안과 페미니즘 사이에서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는 가운데, 노동 문제를 기반으로 여성·청년 문제로 확장해 나가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정의당 비상대책위원회 노선평가위원회가 14일 국회에서 연 ‘존망의 기로, 정의당을 말하다’ 간담회에서 김진억 민주노총 서울본부장은 ‘노동을 기반으로 기층과 여성, 청년 등으로 확장’하는 모델을 향후 대안으로 제시했다. 김 본부장은 정의당이 “노동 기반 없이 대안정당이 되거나 집권하기 어렵다”며 “좌파정당 정체성을 분명히 하면서 사회운동·대중운동을 결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동영 정의당 비대위 대변인은 “노동과 페미니즘을 대결적인 문제로 볼 게 아니라, 노동 중심성을 확고히 하면서 성평등·기후변화 등 다양한 가치를 접목시켜야 한다는 제안”이라고 설명했다.
‘젠더’ 관련 발제를 맡은 김원정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성평등전략사업센터장은 정의당이 페미니즘 의제에 목소리를 높이기는 했지만 ‘정당다운 실천’에는 실패했다고 했다. 특히 김 센터장은 정의당 내 ‘여성사업’이 ”당내 성희롱·성폭력 대응’에 치우쳐 있다”고 지적했다. 또 “선거 때마다 ‘여성’이라는 꼭지로 정책 공약을 나열하는 작업과 젠더 관련 현안이 있을 때마다 개별 정치인이 메시지를 표명하는 것 외에 이렇다 할 정책 생산이나 입법 활동 자체가 많지 않다”는 점도 한계로 지적됐다. 김 센터장은 “여성위원회나 의원 한 두명에게 모든 책임을 내맡기는” 방식에서 벗어나 “정당 스스로 부여한 권위와 힘을 페미니스트 정당 활동에 제대로 행사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제언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이은주 비상대책위원장은 “노동과 페미니즘은 갈라놓아서는 안 될, 동지나 다름없는 가치”라며 “노동과 페미니즘이 정말 양립하는 가치인지, 변화할 정의당이 그릴 노동과 페미니즘 상은 무엇이 돼야 하는지 논쟁하고 싶다”고 말했다.
임재우 기자
abbad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