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왼쪽)가 16일 국회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17일 과거 성비위 전력과 성추행 옹호 표현으로 논란을 빚은 윤재순 대통령실 총무비서관에 대해 “과거에 잘못한 부분이 있었으면 제대로 사과해야 될 것이고, 그 모든 과정을 통해서 국민 여론을 살펴서 (임명 철회 여부를) 결정할 문제”라고 말했다. 하지만 ‘서울시 공무원 간첩조작 사건’ 수사로 징계를 받았던 이시원 공직기강비서관에 대해선 “(직접) 간첩 조작을 한 사람은 아니”라며 “윤재순 총무비서관과 같은 선상에 놓고 평가하는 건 옳지 않다”고 밝혔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문화방송>(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나와 윤 비서관과 이 비서관의 거취 문제를 묻는 질문에 이렇게 답변했다. 그는 우선 성 비위 전력과 성추행 옹호 시집으로 논란을 빚은 윤 비서관에 대해서는 “무작정 일방적으로 단죄하듯이 하는 건 적절치 않다”면서도 “현재 기준에 맞춰서 (당시 표현이) 맞는 것인지 안 맞는지에 대해 본인 입장도 들어봐야 된다. 현재 국민들이 그걸 수용하지 못한다면 윤 비서관은 당연히 사과해야 될 것”이라고 말했다. 권 원내대표는 그의 거취에 대해 “종합적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윤 비서관이 이날 국회 운영위원회에 출석해 각종 논란에 대해 직접 해명한 이후에도 논란이 가라앉지 않는다면 사퇴시키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하지만 권 원내대표는 ‘서울시 공무원 간첩조작 사건’ 수사로 징계를 받았던 이시원 공직비서관에 대해서는 “이 사람이 간첩조작을 한 사람은 아니다”라며 적극 옹호에 나섰다. 그는 “(증거 조작은) 국정원이 했고, 이 사람(이 비서관)은 주임검사로서 국정원의 증거조작에 대해서 알지 못 했다”며 “주임검사로서 국정원의 간첩조작에 대해 좀더 찬찬히 들여다보고 캐치를 했어야 됐는데, 그렇지 못한 점에 대해서 징계를 받은 것”이라고 말했다. 이 비서관이 2013년 ‘서울시 공무원 간첩조작 사건’의 담당 검사 시절 위조된 문서들을 재판부에 증거로 제출했다가 징계를 받았지만, 위조된 증거라는 걸 몰랐을 뿐이라고 옹호한 것이다.
권 원내대표는 ‘당시 사건 피해자인 유우성씨가 억울함을 호소했지만 이 비서관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아 문제가 됐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그 사람들의 일방적인 주장일 뿐”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이시원 검사는 동기 중에서 1, 2위 정도로 좋은 평가를 받았던 친구였고, (사건에 대해) 아마 철저하게 그 당시 조사했던 걸로 알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선담은 기자
s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