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심상정 대선 후보가 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코로나 비상대응 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가 9일 코로나19 재확산 대책을 논의하기 위한 ‘대선 후보 4자 회동’을 제안했다. 정의당은 국회 ‘코로나 특위’를 설치하기 위한 ‘원내대표 간 긴급 비상회동’과 함께 ‘대통령-원내정당 대표 회동’도 요청했다.
심 후보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선거대책위원회 회의에서 “이재명·윤석열 후보는 자영업자 대책 50조, 100조 숫자 경쟁하지 말고, 코로나 대책만큼이라도 비상한 책임감으로 임하기 바란다”며 “코로나 비상 대책을 논의하는 ‘대선 후보 긴급 회동'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이재명·윤석열·심상정·안철수 4명의 대선 후보가 만나 심각한 상황으로 치닫고 있는 코로나19 대응책을 모색해보자는 취지다.
심 후보는 문재인 정부의 코로나19 방역의 미흡함을 지적하는 한편, 백신 부작용도 확실하게 책임지라고 촉구했다. 그는 “하루 확진자 1만명까지 감당하겠다던 호언장담은 중증화율을 오판했다는 궁색한 변명으로 바뀌었다”며 “정부는 추가적인 의료병상과 특히 부족한 간호인력 확보를 위해 가능한 모든 방안을 총동원해야 한다. 행정명령으로 민간병원 병상 추가확보는 물론이고, 긴급임시병동 마련까지를 포함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청소년 ‘백신패스’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것에 대해서는 “접종을 유도하는 방식은 불이익으로 몰아세우는 것이 아니라, 국민들께서 안심할 수 있도록 백신 부작용에 대한 모든 부분을 정부가 확실히 책임지겠다는 약속부터 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 정의당은 국회 차원의 코로나 대응을 위한 ‘코로나 특위’ 설치와 함께 ‘대통령-원내정당 대표 회담’을 통한 코로나19 사회적 대타협을 제안했다. 여영국 대표는 “대통령과 원내정당 대표들의 합의를 토대로 정부와 정치권, 시민사회, 보건의료계, 노동조합, 경영계 등 모든 사회적 주체의 코로나 위기극복 사회적 대타협을 만들어내자”고 제안했다.
송채경화 조윤영 기자
kh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