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일 서울 종로구 교보빌딩에서 열린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 출판기념회에 참석해 축사를 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일 당내 갈등 상황에 대해 “나는 전혀 거기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모른다”고 선을 그었다.
김 전 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교보빌딩에서 열린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출판기념회에 참석해 기자들과 만나 이렇게 말했다. 김 전 위원장은 평소 좋은 관계를 유지해 온 이준석 대표와 통화한 적 있느냐는 기자 질문에 “전혀 아무 연락도 없었다”고 덧붙였다.
선대위 구성에서 시작된 윤석열 후보와 이준석 대표의 갈등이 ‘당 대표 칩거 사태’로까지 불붙었지만, 구체적 언급은 하지 않는 모습이다. 김 전 위원장은 이틀째 잠적을 이어가는 이 대표를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답변하지 않았다.
김 전 위원장이 국민의힘 선대위에 합류하지 않고 이날 박 의원 행사에 얼굴을 내비친 것을 두고, 민주당 선대위에 합류하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도 제기됐다. 김 전 위원장은 이에 대해 “쓸데없는 소리 하지 말라”고 못 박았다. 이어 ‘대선에서 국민의힘 대신 민주당을 대신 도울 생각이 있는가’라는 질문에도 “쓸데없는 생각 말고”라며 답했다.
박 의원은 2016년 김종인 당시 민주당 비대위원장의 비서실장을 지냈다. 김 전 위원장은 이날 행사 축사에서 “대선 경선 과정에서 바라던 것은 우리나라도 패기 있는 젊은 후보가 나와서 나라를 한번 이끌면 나라가 과거보다 달라지지 않겠냐는 것”이라며 “1970년 이후 출생한 사람이 한번 대통령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었는데 70년 이후 출생한 (대선) 경선 후보는 박용진 의원밖에 없었다. 이번에는 실패했다고 하겠지만, 정진해서 다음에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바란다”고 격려했다.
김 전 위원장은 이어 “유행어처럼 공정과 정의를 많이 이야기하지만, 공정과 정의의 달성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이냐에 대한 구체적 이야기는 정치에서 참 찾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이를 두고 ‘공정’을 열쇳말로 본격 선거 운동에 돌입한 윤 후보를 향한 메시지라는 해석도 나왔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