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 국회·정당

결별이냐 봉합이냐…윤석열-김종인 ‘치킨 게임’ 결과는

등록 2021-11-23 17:59수정 2021-11-23 19:22

김 “2~3일 사이에 입장 밝히겠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23일 서울 영등포구 한 식당에서 당내 경선에서 경쟁했던 후보들과 오찬을 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23일 서울 영등포구 한 식당에서 당내 경선에서 경쟁했던 후보들과 오찬을 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3김(김종인·김병준·김한길) 선거대책위원회’ 구성안을 두고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와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치킨 게임’을 벌이고 있다. 김 전 위원장의 “일상 회귀” 발언에, 윤 후보 쪽은 “이미 입장이 정해졌다”고 맞섰다. 갈등의 종착지가 봉합일지 결별일지 미지수다.

윤 후보는 23일 서울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엠비엔>(MBN) 보고대회’에서 김 전 위원장의 선대위 합류와 관련한 질문을 받고 “모르겠다. 그 양반 말씀하는 건 나한테 묻지 말아달라”고 했다. 김 전 위원장을 “그 양반”이라고 칭하며 불쾌한 감정을 드러낸 것이다.

김 전 위원장은 ‘선대위 불참’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는 서울 종로구 사무실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제 정치 문제에 대해 얘기 하고 싶지 않다. 나는 지금 일상으로 회귀하는 것”이라고 했다. 대선에서 손을 털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그러면서 그는 “어제 이후로 (윤 후보와) 연락한 적 없다”며 “(윤 후보가) 찾아오면 만나는 거지, 거부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윤 후보가 생각을 바꿔 자신의 의사를 존중하면 ‘재고’의 여지가 있다고 실마리를 남긴 것이다. 이날 저녁 기자들과 만나서는 “2~3일 사이에 내 입장을 밝힐 것”이라면서도 “일이라는 게 한 번 지나가면 되돌릴 수가 없다”고 했다. 선대위 인선은 “지나간 일”이라고 거듭 말했다. 윤 후보에게 ‘2~3일 내 태도 변화’를 주문한 셈이다.

그러나 윤 후보 쪽도 이번엔 입장을 굽히지 않을 기세다. 윤 후보 쪽 관계자는 <한겨레>에 “후보 입장은 이미 정해져 있다. 김 전 위원장이 결심할 문제”라며 새로운 선대위 인선안을 제시할 가능성이 없다고 못박았다. 김 전 위원장이 마뜩잖게 여기는 김병준 상임선대위원장과 김한길 새시대준비위원장을 내칠 생각이 전혀 없다는 것이다. 윤 후보는 ‘김 전 위원장을 찾아가거나 연락할 생각이 없냐’는 기자들의 물음에 “생각을 해보시겠다고 했으니까 기다리고 있는 것이 맞는 거 아니겠냐”고 했다. 먼저 찾아갈 일은 없다는 생각을 내비친 셈이다. 윤 후보 쪽에서는 ‘김종인이 없어도 된다’는 주장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이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사무실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이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사무실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윤 후보와 김 전 위원장의 갈등이 이어지는 가운데 후보 비서실장으로 유력하게 거론되던 장제원 의원은 이날 “윤 후보 곁을 떠나겠다”고 밝혔다. 김 전 위원장은 자신을 ‘노욕에 찬 정치 기술자’라고 했던 장 의원이 비서실장을 맡는 것에 거부감을 지닌 것으로 알려진다. 장 의원은 페이스북에 “윤석열의 무대에서 윤석열 외에 어떤 인물도 한 낱 조연일 뿐”이라며 “후보님 마음껏 인재를 등용하시고 원톱이 되셔서 전권을 행사하시라”고 적었다. 전권을 쥔 ‘원톱’ 역할을 기대했던 김 전 위원장을 겨냥한 글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김 전 위원장은 “장 의원이 윤 후보 곁을 떠나는 것하고 나하고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며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다.

양쪽이 팽팽히 맞서는 가운데 이번 갈등 역시 주도권을 둘러싼 또 한번의 기싸움이 아니냐는 전망도 나온다. 김 전 위원장이 특유의 ‘벼랑 끝 전술’을 펴는 것이고, 결국 양쪽이 냉각기를 거친 뒤 다시 타협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날도 경선 과정에서 윤 후보 캠프 정책조정본부장을 맡은 송언석 의원, 3선 김태흠 의원 등이 김 전 위원장 사무실을 방문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김 전 위원장이 합류를 고민할 여지는 생겼다”면서도 “중진 의원들이 선대위 자리를 내려놓는 식으로 분위기를 쇄신하면 (타협의) 여지가 생길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1.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2.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3.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4.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5.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