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 국민의힘 경기도당 현장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한 김재원 최고위원. 공동취재사진단
김재원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21일 “부동산 정책과 원전 정책 두가지만은 문재인 대통령이 적어도 전두환 전 대통령한테 배웠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윤 전 총장의 ‘전두환 옹호’ 발언이 국민의힘 ‘호남 서진정책’에 찬물을 끼얹었다는 비판이 나오는 와중에 당 지도부가 노골적으로 윤 전 총장을 감싸고 나선 것이다.
김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1983년에 대학에 입학해서 전두환 전 대통령 시절에 대학에 다녔다. 관악파출소 백골단들한테 곤봉 맞아가면서 대학 다녔기 때문에 그 시절로 다시 돌아가고 싶지 않다. 전두환 정권 같은 게 다시 등장하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면서도 “그 당시에 젊은이들은 학교 졸업하면 취직 잘 됐다. 10년 정도 저축하면 누구든지 강남아파트 살 수 있고 희망이 좌절된 시대는 아니었다”고 했다. 이어 “아파트, 집 장만 문제도 문재인 정권 들어와 전부 2배 이상 올려놨다”고 비판했다. “적어도 먹고 사는 문제에 있어서는” 전두환 정권 때가 지금보다 나았다는 얘기다.
김 최고위원은 “전두환 시절에는 하다못해 군사정권이라 경제를 모른다고 해서 경제정책만큼은 최고 일류에게 맡겼다. 부동산, 원전정책 두 가지만이라도 문 대통령이 적어도 전두환에게 배웠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전두환도 벤치마킹해야 한다’는 윤 전 총장 주장에 동조하며 엉뚱하게 문 대통령을 소환한 것이다. 이는 “독재한 전두환조차도 ‘이랬는데’라며 문재인 정부의 ‘캠코더’(캠프·코드·더불어민주당) 인사 난맥상을 비교하는 게 임팩트가 있을 것으로 봤다”고 주장한 윤 전 총장의 해명과 정확히 궤를 같이 한다.
윤 전 총장의 망언에 이준석 대표도 “동의하지 않는다”며 당의 정책과 상관 없다고 선을 그은 상황에서 수석최고위원의 ‘부적절한 코드 맞추기’라는 비판이 나온다. 의원직 사퇴를 선언한 곽상도 의원의 대구 지역구를 받기 위한 김 최고위원의 정치적 행보 아니냐는 시선도 존재한다. 유승민 캠프 권성주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어 “(김 최고위원의 발언은) 후보 개인의 비상식적 발언을 당 지도부 의견으로 확장시켜버린 심각한 망언”이라며 “질책하지는 못할망정 당 최고위원이라는 사람이 두둔하고 나선 것은 ‘정권교체’엔 관심 없고 오직 줄서기에만 몰두하고 있음을 방증하는 것이다. 윤석열 캠프로 가시라”며 꼬집었다.
오연서 기자
lovelett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