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희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이 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2020년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국민권익위원회 제공
국토교통부가 국민권익위원회가 실시한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결과에서 국토교통부와 광주광역시가 중앙행정부처·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유일하게 최하위인 5등급을 기록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중앙행정기관·지자체·교육청·공직유관단체 58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결과를 9일 발표했다. 각 기관에 대한 국민(15만3141명)과 공직자(5만5011명)를 대상으로 지난 8월부터 11월 동안 이뤄진 전화·온라인조사와 부패사건 발생현황을 반영해 종합평가한 결과다.
결과를 보면, 국민이 평가하는 외부청렴도(8.53점)는 지난해보다 0.06점 올라 좋아졌지만, 공직자의 내부평가는 지난해보다 0.05점 떨어진 7.59점을 기록했다. 감점항목인 부패사건은 공공기관 118곳에서 259건이 발생해, 지난해 146곳 376건에 견줘 감소했다. 행정기관은 금품수수(92건·43.8%), 향응수수(47건 ·22.4%)가 많았고, 공직유관단체는 금품수수(19건·38.8%), 직권남용(14건·28.6%)이 많았다.
종합청렴도 점수는 공직유관단체(8.53점), 교육청(8.52점), 중앙행정기관(8.37점),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각 8.02점)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 1등급을 기록한 공공기관은 통계청,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청양군, 국민건강보험공단, 한국수력원자력, 대한석탄공사인 반면, 국토부와 광주광역시는 중앙행정부처와 광역단체 가운데 각각 유일하게 5등급을 기록했다. 주요 권력기관 가운데는 검찰청이 2등급, 법무부·해양경찰청·관세청이 3등급, 경찰청·국세청이 4등급을 기록했다.
심층조사 결과 가운데 눈에 띄는 것은 공공기관 내부자들이 평가하는 ‘공정’에 대한 인식이다. 특혜제공과 부정청탁에 대한 청렴도 점수는 근무연수가 짧을수록, 직급이 낮을수록 해당 기관의 업무처리 공정성이 전반적으로 낮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공직사회 변화 인식과 관련해서는, 72.8%가 업무과정에서 대면접촉이 감소했다고 봤지만, 조직의 의사결정 과정·절차는 절반(49.7%)이 변화가 없다고 응답했다. 또한 10% 정도의 응답자가 비대면 업무방식 확산에 따라 부패발생이 증가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박태우 기자
eho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