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사설

[사설] 최연혜 사장 이러려고 철도파업 강경진압했나

등록 2014-01-16 19:20수정 2014-01-17 09:02

최연혜 코레일 사장이 16일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를 만났다고 한다. 19대 총선 때 대전 서구을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나섰다가 낙선한 최 사장이 지역구 당협위원장 자리와 관련해 ‘여러 가지 자기를 좀 고려해달라’고 부탁을 했다는 게 황 대표의 얘기다. 다음 선거 때 자신이 출마할 수 있도록 당협위원장 자리를 비워놓아 달라는 청탁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결국 모든 게 다 정치적 야망 때문이었나 싶다. ‘민영화 반대’라던 자신의 소신을 손바닥 뒤집듯 바꾸고, 철도노조 파업을 강경하게 짓밟았던 이유 말이다. 특히 이날은 경찰에 자진출석한 김명환 철도노조 위원장을 비롯한 노조 지도부의 구속영장 실질심사가 있던 날이다. 직원들이 한겨울 구치소로 가느냐 여부의 갈림길에서 떨고 있을 때, 사장은 자신의 입신을 위해 정치권을 기웃거리고 있었던 것이다.

파업 때 최 사장이 직위해제한 직원이 7843명이다. 전체 직원 2만명 가운데 법적으로 파업에 참가할 수 있는 1만2000여명을 기준으로 보면 70% 가까이 날린 셈이다. 과거 철도파업에서 간부급 100~200여명만 직위해제했던 것에 비하면 그 강도를 알 수 있다. 파업이 끝났지만 노조 간부 등 파업 참가자 406명에 대한 징계절차를 시작했고, 노조를 상대로 152억원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 이어 추가 소송도 낼 계획이라고 한다. 모두 최 사장이 주도하고 있다.

최 사장은 생각도 쉽게 바꿨다. “국가 기간 교통망인 고속철도에 민간 참여라는 극단적 방법까지 동원해 경쟁을 도입하는 것은 자가당착”이라며 민영화 반대 글을 신문에 기고하더니, 2년도 안 돼 민영화가 우려되는 자회사 설립을 밀어붙였다. 김대중 정부 때는 민주당 의원들과 유라시아 횡단 철도여행을 하면서 정치적 인연을 맺었고, 노무현 정부 때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자문위원을 거쳐 철도청 차장 등 요직으로 진출했다. 그랬던 최 사장이 19대 총선 때는 갑자기 새누리당원으로 나타나 민주당 의원들을 당황하게 했다.

철도는 국민의 것이다. 사익을 추구하는 사람에게 공공재를 맡기면 출세의 도구로 이용만 될 뿐이다. 특히 철도는 국민의 안전과 직결된 시설이다. 잿밥에만 맘이 있는 경우 어떤 대형 참사가 터질지 불안할 수밖에 없다. 게다가 코레일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숙제가 산더미다. 민영화 논란, 용산개발 무산에 따른 대규모 소송전, 부채문제 해결 등이다. 정치적 이해관계에 얽매여 있는 최 사장이 이런 큰 과제를 공정하게 처리할 수 있다고 기대하기 어렵다. 청와대는 즉각 최 사장을 교체해야 할 것이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헌법재판관 흔들기, 최종 목적이 뭔가 [2월3일 뉴스뷰리핑] 1.

헌법재판관 흔들기, 최종 목적이 뭔가 [2월3일 뉴스뷰리핑]

유권자라면 냉철한 시각 지녀야 [왜냐면] 2.

유권자라면 냉철한 시각 지녀야 [왜냐면]

국헌문란 ‘물타기’ 보도, 언론계가 자율규제 나서야 [왜냐면] 3.

국헌문란 ‘물타기’ 보도, 언론계가 자율규제 나서야 [왜냐면]

“고용도 인연인데, 어떻게 인연을 이렇게 잘라요?” [6411의 목소리] 4.

“고용도 인연인데, 어떻게 인연을 이렇게 잘라요?” [6411의 목소리]

앞으로도 우린 파쇼와 싸우게 된다 [아침햇발] 5.

앞으로도 우린 파쇼와 싸우게 된다 [아침햇발]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