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이건희 삼성 회장이 국회의원과 판·검사 등 유력 인사들에 대한 로비에 직접 개입했음을 보여주는 문건이 공개됐다. ‘회장 지시사항’이란 이름의 문건에서 이 회장은 재벌에 비판적인 <한겨레> 등 언론에 대해 ‘광고를 조정하는 것을 검토해 보라’고 지시하는 등 막대한 자금을 이용해 언론을 통제하려 했던 사실도 드러났다.
삼성 구조조정본부(현 전략기획실) 법무팀장을 지낸 김용철 변호사는 며칠 전 자신이 직접 유력 검사들의 명단을 만들어 명절 때마다 500만~1천만원씩을 건네는 방식으로 이들을 관리해 왔다고 주장했다. 그동안 추측으로만 전해져 온 삼성 로비의 실체가 모습을 드러낸 셈이다. 이는 김 변호사가 앞서 폭로한 삼성 비자금 가운데 상당 금액이 이러한 로비자금으로 사용됐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삼성은 이 문건에 대해 분명한 확인을 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문건 작성 시기와 내용 등을 비춰볼 때 상당히 신빙성이 있어 보인다. “호텔 할인권을 발행해서 돈 안 받는 사람에게 주면 부담 없지 않을까?”, “현금을 주기는 곤란하지만 주면 효과가 있는 사람들에게 적용하면 좋을 것” 등은 내용이 너무나 구체적이어서 지나칠 수 없는 대목이다. “분당 플라자를 매각하라”거나, “말레이시아 쌍둥이 빌딩을 지었던 인력들을 다시 스카웃하라”는 등 계열사들에 대한 지시사항도 들어있다.
그림은 비교적 간단하다. 차명계좌를 이용해 비자금을 운용했고, 이를 로비 및 정치 자금으로 사용했으며, 회장이 이 과정에 개입하지 않았나 하는 것이 의혹의 핵심이다. 삼성은 부인하지만 김 변호사의 폭로나 문건 내용 등을 종합해 보면 충분히 가능한 얘기다. 천주교 정의구현 전국사제단이 오는 5일 자세한 내용을 2차로 폭로하겠다고 했다.
추가폭로와 관계 없이 검찰도 사태가 여기까지 온 마당에 망설일 이유가 없다. 당사자들이 말을 짜맞추기 전에 신속하게 수사에 나서 의혹을 규명해야 한다. 김 변호사의 폭로와 공개된 문건이 사실이라면 금융실명제 위반, 뇌물공여 등 현행 법에 위반되는 사안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금융감독원과 국세청 역시 마찬가지다. 꿀먹은 벙어리처럼 눈치만 보고 있지 말고 해당 은행 검사 등 책임있는 조처를 취해야 할 것이다. 국민은 검찰 등 관련 기관의 눈치보기가 삼성의 로비와 관련이 있는지 의심하고 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