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5·31 지방선거전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시장이나 지하철역 입구, 네거리 등 행인들이 많이 오가는 곳 주변은 각급 후보들의 유세와 로고송, 운동원들의 인사 소리로 귀가 먹먹할 정도다. 이번부터 부활된 펼침막도 거리 곳곳에서 나부낀다. 하지만 이런 방식의 선거운동은 후보자 얼굴 알리기에는 도움이 될지 몰라도 유권자들의 판단과 선택을 돕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현대민주주의에서 갈수록 중요시되는 것이 후보간 토론회다. 후보자의 자질과 정책을 서로 비교·검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돈도 들지 않으며, 많은 유권자들을 한꺼번에 만날 수 있어 효율적이다.
우리 공직선거법이 지방선거는 1회 이상, 국회의원 선거는 2회 이상, 대통령 선거는 3회 이상 공영방송에 의한 토론을 의무적으로 하도록 규정한 것은 이런 취지에서다. 하지만, 서울과 경기 등지에서 예정된 방송토론이 무산되는 등 일부 토론회가 차질을 빚고 있다. 서울시장 선거의 경우 어제 예정됐던 〈교통방송〉 초청 4당 후보 토론회가 오세훈 한나라당 후보의 불참으로 무산되는 등 모두 4건의 방송토론이 오 후보 쪽의 거부로 취소됐다. 오는 23일 예정된 〈한국방송〉 라디오의 경기도지사 후보 토론회도 김문수 한나라당 후보의 불참 통보로 무산될 처지에 놓였다. ‘선거 일정이 바쁘고, 거리 유세도 토론회 못지 않게 중요하다’는 것을 이유로 들고 있다.
거리 유세를 중시하고 말고는 각 후보의 전략이겠지만, 이를 빌미로 토론회를 회피하는 것은 유감이 아닐 수 없다. 일부 후보들은 여론조사에서 상대 후보보다 앞서 있는 상황에서 토론회에 매번 나가봐야 득될 게 없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는 얘기도 있다. 떳떳하지 못할 뿐더러 유권자들의 선거 참여를 떨어뜨릴 수 있는 행위다. 한 차례 이상이라는 법 규정은 최소한의 의무사항일 뿐 토론회는 많을수록 좋다. 다양한 형태의 토론회가 이뤄지도록 후보들이 적극적으로 나서기 바란다.
그저께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의 광주 유세를 남총련 소속 대학생들이 방해한 것 역시 활발한 선거분위기를 해치는 것으로, 매우 유감이다. 자기 맘에 들지 않는다고 정당 선거유세를 물리적으로 막는 것은 반민주주의적이다. 보수 정당인 한나라당도 광주에서 자유롭게 정당 활동을 하는 게 광주 민주화 운동의 정신이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