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사설

[사설] ‘AI 교과서’ 도입, 속도전 앞서 부작용 우려 불식해야

등록 2023-02-23 18:09수정 2023-02-24 02:10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2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디지털 교육 비전 선포식에 참석해 디지털 교육 비전 및 핵심가치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2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디지털 교육 비전 선포식에 참석해 디지털 교육 비전 및 핵심가치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교육부가 23일 인공지능(AI) 기술을 탑재한 디지털 교과서 도입을 뼈대로 하는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을 발표했다. 2025년부터 초등학교 3~4학년과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공통과목과 일반선택과목에 ‘인공지능 교과서’를 우선 도입하겠다는 것이다. 물론 새로운 기술을 교육에 접목하는 일은 필요하다. 그러나 기술 도입의 효과와 부작용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 없이 ‘속도전’식으로 밀어붙인다면 교육 현장에 큰 혼란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인공지능 교과서’는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 메타버스, 대화형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을 적용해 개발될 예정이라고 한다. 이런 기술을 통해 학생 개인별 맞춤형 수업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교육부는 설명한다. ‘인공지능 교과서’ 활용 학년은 단계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디지털 선도학교’와 ‘선도교사단’도 운영할 계획이다. 이주호 교육부 장관이 에듀테크 업체와의 유착 의혹이 불거질 정도로 줄기차게 설파해온 ‘인공지능 교육혁명’이 마침내 공교육 안으로 들어올 수 있게 된 것이다.

문제는 일선 학교들이 제대로 준비가 돼 있느냐다. 교사들에 대한 연수와 인프라 구축, 도입 필요성에 대한 교육 주체들의 합의 등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목표 시점을 못박고 상명하달식으로 새 교수법을 강제한다면 역효과만 날 가능성이 크다. 교육부는 맞춤형 교육을 통해 뒤처진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하지만 반론도 만만찮다. 우선, 과밀학급이 여전히 많은데 맞춤형 수업이 가능하겠느냐는 지적이 나온다. 인공지능 기술이 학생들에게 개별화된 학습 내용을 제시한다 하더라도, 학생 하나하나의 상태를 살피고 피드백을 주고받는 일은 결국 교사들이 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가정환경에 좌지우지될 가능성이 높은 디지털 활용 능력이나 학습 준비도 등에 따라 교육 격차가 더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요즘 ‘챗지피티’ 열풍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인공지능을 포함한 4차 산업혁명 기술이 교육의 패러다임을 송두리째 바꿀 것이라는 말이 나온 지도 꽤 됐다. 그러나 교육은 ‘관계’ 속에서 이뤄진다는 명제는 여전히 유효하다. 인공지능 시대에 꼭 필요한 비판적 사고력이나 공감 능력, 디지털 리터러시(문해력) 등은 교사 또는 친구들과의 대면 교류를 통해 길러질 수 있다. 기술로 ‘교육혁명’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는 맹신은 위험하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사설] 속속 드러난 ‘윤석열 거짓말’, 언제까지 계속할 건가 1.

[사설] 속속 드러난 ‘윤석열 거짓말’, 언제까지 계속할 건가

윤석열 파면되면 국힘 대선후보 낼 자격 없다 2.

윤석열 파면되면 국힘 대선후보 낼 자격 없다

나라야 어찌 되든, 윤석열의 헌재 ‘지연 전략’ [뉴스뷰리핑] 3.

나라야 어찌 되든, 윤석열의 헌재 ‘지연 전략’ [뉴스뷰리핑]

[사설] 김성훈 경호차장의 내란 공모 의혹 전모 밝혀야 4.

[사설] 김성훈 경호차장의 내란 공모 의혹 전모 밝혀야

[사설] ‘현란한 협상술’ 보인 트럼프, 거국적 대응 체제 갖춰야 5.

[사설] ‘현란한 협상술’ 보인 트럼프, 거국적 대응 체제 갖춰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