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열린민주당 합당수임기관 합동회의에서 송영길 대표와 최강욱 대표 등 참석자들이 손을 맞잡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더불어민주당과 열린민주당이 18일 합당 절차를 마무리지었다. 172석의 민주당이 3석의 열린민주당을 흡수하는 방식이다. 이로써 열린민주당은 제20대 총선을 한달 남짓 앞두고 ‘비례대표용 정당’으로 급조된 지 1년10개월 만에 정치무대의 뒤편으로 사라졌다. 뿌리가 같은 정당인 만큼 대선을 앞두고 하나로 합치는 건 예고된 수순이었으나, 열린민주당의 창당 과정과 이후 행보를 돌이켜보면 씁쓸한 뒷맛을 남긴다. 정치개혁의 목표를 갖고 마련된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허점을 이용해, 제도의 취지를 거스르는 정당을 급조한 것에 대해선 분명한 성찰과 재발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
송영길 민주당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합당수임기관 합동회의에서 “양당 지도부가 한자리에 모여 완전한 통합을 의결했다”며 “두 당은 단순한 산술적 결합이 아니라 낡은 정치의 문법을 타파하는 창조적 파괴와 혁신적 통합을 위한 양당의 논의를 정치특위를 통해 실천해나가도록 하겠다”고 했다. 최강욱 열린민주당 대표도 “(대선을 앞둔) 민주진보 진영의 단결은 국민의 명령이자 의무”라고 강조했다. 최 대표는 합당된 민주당의 최고위원 자리를 받았다.
정당의 빈번한 이합집산은 한국 정당정치사의 특징이다. 노선 갈등이나 공직 후보직을 둘러싼 계파 다툼으로 당이 갈렸다가 큰 선거를 앞두고 정치적 필요에 의해 합치는 일이 다반사였다. 하지만 열린민주당은 달랐다. 노선 차이나 계파 갈등으로 당을 따로 꾸린 게 아니라, 연동형 비례대표제가 도입된 뒤 거대 정당들의 비례대표 의석 확보가 제한되는 틈을 타서 민주당의 자매정당을 자처하며 당을 급조했다. 열린민주당의 비례대표 후보 상당수가 민주당 공천에서 탈락하거나 공직 부적격자로 분류돼 공천이 쉽지 않았던 인사들이었다는 점에서 열린민주당은 정당 공천을 희화화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열린민주당의 창당은 현행 선거법의 결함을 극명하게 드러낸 하나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공식 위성정당인 더불어시민당 창당에 대해선 현 민주당 지도부와 이재명 대선 후보가 여러 차례 사과한 바 있지만, 열린민주당과 합당을 추진하는 과정에선 민주당 지도부가 어떤 성찰의 메시지도 내놓은 적이 없다. 이제라도 잘못된 부분을 돌아보고, 다시는 급조한 위성정당이 탄생하지 못하도록 제도 정비를 서둘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