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한겨레 프리즘] 누구에게나 ‘화수분’은 없다 / 이승준

등록 2021-02-07 16:08수정 2021-02-08 02:42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이승준 | 사건팀장

“오늘도 안 팔렸네.” 일주일째 하루에 한두번 중고거래 앱 당근마켓을 열어보고 있다. 물건을 사거나 팔려고 하는 것도 아닌데 오늘도 들어가서 몇몇 매물이 팔렸는지 살펴본다. ‘거래완료’가 붙어 있는 물건을 보면 마음이 놓이고, 아직도 별다른 관심을 못 받는 상품을 보면 마음이 무겁다. 이게 다 ‘토마토케첩’ 때문이다. 일주일 전 당근마켓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의 게시물을 본 뒤 ‘1일 1당근’에 빠져버렸다. ‘토마토케첩 1회용 160개 3000원에 팝니다. 폐업으로 넘깁니다. 유통기한 넉넉합니다.’ 코로나19에 직격탄을 맞은 자영업자들이 주방기구, 그릇, 커피머신 등을 매물로 내놓는다는 건 뉴스를 보고 알고 있었지만 1회용 케첩 같은 소소한 물건도 나온다는 사실에 호기심이 일었다. ‘폐업’으로 검색해봤다. ‘포도당 사용하고 반 정도 남았습니다. 바가지도 같이 드려요’ ‘포장 피클 100개 일괄로 팝니다’ ‘폐업으로 음식 모형 팝니다. 몇만원 주고 맞춘 건데… 5000원에 가져가세요’ ‘(업소용) 조미료 1㎏씩 팝니다’ ‘소스 2㎏ 팝니다’… 100원부터 몇천원, 몇만원까지 판매 가격은 천차만별이다. 호기심은 안타까움으로 바뀐다. 언젠가 피자나 치킨을 시켜 먹었던 동네 가게 사장님들이 올린 매물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가게 구석구석에 놓인 손때 묻은 물건들을 찾아 몇백원, 몇천원이라도 건지려는 누군가의 마음을 가늠하다 보면 괜스레 나까지 속이 상한다. 그때부터 당근마켓 속 폐업 매물들의 ‘운명’을 주시하게 됐다. ‘케첩이, 피클이 팔린다면 누군가 가게를 꿋꿋이 꾸려가고 있거나, 또 다른 누군가 새로 가게를 여는 것이 아닐까’라는 근거 없는 기대를 해본다.

중소상인과 실내체육시설 단체 회원들이 2일 서울 중구 브라운스톤서울 앞에서 1인 시위를 진행하고 있다. 대한피트니스경영자협회 제공.
중소상인과 실내체육시설 단체 회원들이 2일 서울 중구 브라운스톤서울 앞에서 1인 시위를 진행하고 있다. 대한피트니스경영자협회 제공.

한국의 자영업은 퇴직자, 실직자, 실업자 등이 특별한 기술이 없이 진입하는 ‘제2의 노동시장’ 구실을 해왔다. 현실에서 폐업과 창업이 반복되는 자영업 생태계는 ‘제1 노동시장’에서 탈락한 이들에게 하나의 안전망처럼 자리매김해왔다. 팔리지 않는 폐업 매물들은 이 생태계가 본격적으로 무너지고 있다는 신호다. 주방용품 거래로 유명한 서울 황학동 주방거리도 폐업으로 인한 매물이 쏟아지지만 이를 사 가는 이들은 드물다고 한다. 자영업자의 상징 같은 ‘1톤 트럭’도 중고차 시장에 쏟아져 나오지만, 좀처럼 주인을 찾지 못한다는 소식이 들린다. 실제로 통계청 자료를 보면 2020년 월평균 전국 자영업자 수는 553만1천명으로 전년도보다 7만5천명(1.3%)이 감소했다. 2018년 -4만4천명, 2019년 -3만2천명에 견주면 자영업자 감소 폭이 두드러진다. 창업보다 폐업이 7만5천명 많았다는 이야기다.

사람이 모이면 확산하는 코로나19 특성상 술집,음식점 등의 영업제한은 방역을 받치는 주요한 축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공동체 방역을 지탱하며 받는 고통은 고스란히 자영업자들의 몫으로만 남았다. 최근 이동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한국신용데이터 분석 결과를 보면, 정부의 집합금지·제한 조처 대상이 된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지난해 매출은 업종별로 2019년보다 최대 42%까지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외국에서는 지난해 일찌감치 자영업자들에 대한 지원 대책을 만들고 시행해왔지만, 우리 정부는 ‘착한 임대인 제도’ 등 구성원들의 ‘선의’에만 기대왔다. 자영업자들이 최근 집단행동에 나서며 ‘공정’과 ‘형평’을 호소하자 뒤늦게 ‘이익공유제’ ‘손실보상제’ 등의 대책 마련 논의가 나온다. 피해 업종, 손실 정도 등을 산정하는 기준을 만들고 사회적 합의를 이루는 것이 쉽지만은 않은 일이다. ‘국가 재정’에 대한 고민도 무시할 수 없다. 그러나 사회를 유지하기 위해 누군가 희생을 했다면, 그 고통도 공정하게 나눠 가져야 하는 것 아니냐는 자영업자들의 질문을 정부와 정치권이 계속 외면하기에는 시간이 많지 않은 듯싶다. “홍남기 장관이 말하는 대로 정부 재정이 화수분이 아니듯이 자영업자의 호주머니도 화수분이 아니다.”(코로나19 대응 전국자영업자비상대책위원회 6일 보도자료)

gamj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사설] ‘모든 책임 지겠다’는 사령관, 내 책임 아니라는 대통령 1.

[사설] ‘모든 책임 지겠다’는 사령관, 내 책임 아니라는 대통령

트럼프 ‘가자 리조트’ 구상, 다른 목적은 무얼까 [2월6일 뉴스뷰리핑] 2.

트럼프 ‘가자 리조트’ 구상, 다른 목적은 무얼까 [2월6일 뉴스뷰리핑]

[사설]“탄핵되면 헌재 부수라”는 인권위원, 그냥 둬야 하나 3.

[사설]“탄핵되면 헌재 부수라”는 인권위원, 그냥 둬야 하나

[사설] 의정갈등 1년, 환자들이 얼마나 더 고통 감내해야 하나 4.

[사설] 의정갈등 1년, 환자들이 얼마나 더 고통 감내해야 하나

왜 광장에 나오셨나요 [권김현영의 사건 이후] 5.

왜 광장에 나오셨나요 [권김현영의 사건 이후]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