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삶의 창] 스토리텔링과 하이데거 / 정대건

등록 2020-07-17 16:03수정 2020-07-18 02:35

정대건 ㅣ 소설가·영화감독

철학과를 나온 이력 때문에 순진무구한 질문을 많이 들었다. “전공을 살리면 철학관 차리는 거예요?” “사주 봐줄 수 있어요?” 우스갯소리를 하려는 게 아니라 철학을 전공한 사람들은 정말 흔하게 들어봤을 말이다. 물론 주역을 공부하면 사주를 풀이할 수는 있겠으나, 철학과 전공 수업에서 점치는 법을 가르쳐주지는 않는다. 그거라도 배웠으면 굶을 걱정은 덜 했을 수도 있었겠다.

안타깝지만 나조차도 무엇을 배우는 과인지 모르고 들어갔기에, 그런 질문을 하는 사람들을 나무라고 싶은 마음은 없다. 죽음에 대해 지나치게 많이 생각하며, 달을 보러 다니고, 사색을 즐기던 10대 청소년은 ‘아무개의 인생철학’ 할 때의 철학이 그 철학인 줄 알고 철학과에 진학하게 되었다. 철학과를 2년 다니고 나서야 철학은 오히려 차가운 수학에 가까운 것이고, 인생의 고민을 해소해주는 학문이 아님을 배웠다. 10대 때 내가 품었던 것이 냉철한 철학적 고민이 아니라 뜨거운 문학적 감수성에 가까웠다는 것을 깨달은 것은 먼 훗날의 일이다.

또 들은 질문 중에 철학과를 나왔으면 영화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느냐는 말이 있다. 어떤 생각에서 기인한 말인지 나는 고개를 갸우뚱했다. 박찬욱 감독이 철학과를 나온 사실의 아우라가 너무 큰 것일까. 내 의견으로는 추상적이고 사변적인 철학적 사고는 스토리와 관련된 작품을 (해석하는 데는 어떨지 모르겠으나) 창작하는 데 대체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러면 스토리를 쓰는 사람으로 사는 지금의 나에게 철학과에서의 배움은 쓸모없던 것인가 하면 꼭 그렇진 않다. 내게 ‘인생 강의’라 할 만큼 큰 영향을 준 수업이 있으니 김창래 교수님의 ‘끝으로부터 철학하기’ 강의였다.

“플라톤은 철학을 ‘죽는 연습’으로 규정하며, 하이데거 역시 철학하는 현존재에게 ‘죽음에로 미리 달려가 볼 것’을 권한다. 철학자는 죽음으로 미리 달려가 보는 연습을 통해 끝의 순간에 비로소 가질 수 있는 존재의 관점에서 삶을 관조한다.”

‘지금’의 의미는 끝에 가서야 (전체를 조망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알 수 있고 현재는 알 수 없다는 것이다. 내가 진정 원하는 게 뭘까, 불확실한 미래에 한 치 앞도 내딛지 못하고 방황하던 그 시절 내게 끝을 향해 자신을 내던짐을 권하던 그 수업은 감동이었다. 누군가 내게 철학과에서 무엇을 배웠느냐고 물어보면 시험을 위해 달달 외우던 용어들은 전부 잊어버렸지만, 끝에서부터 사유하려는 태도(관점) 하나만큼은 체득했다고 말할 수 있다. 그 덕분인지 관계에서도 끝을 먼저 생각하는 슬픈 사연이 있기는 하지만.

당시 시나리오 작법서에 푹 빠져 있던 나는 그 수업 내용을 스토리텔링에 접목해도 의미가 통한다며 감탄했다. 스토리의 세계는 인간의 유한한 일생과 마찬가지로 끝이 있다. <시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끝이란 ‘그전에 전개된 사건 다음에 필연적으로 오는 장면’이라고 정의했다. 잘 짜인 스토리를 감상하고 나면 처음과 중간, 스토리의 전체가 끝부분의 클라이맥스를 향해서 복무하고 있다는 인상을 받으며 만족감을 느낀다. ‘끝이 좋으면 다 좋다’는 말은 적어도 스토리텔링에서는, 처음과 중간이 엉망이다가 끝에 가서 얻어걸린다고 해서 다 좋다는 뜻이 아니다. 스토리의 처음과 중간이 좋지 않은데 엔딩이 좋게 작동할 리 없다. 결국, 끝이 좋아지려면 처음과 중간이 잘 설계되어야 한다는 말과도 같다.

‘끝이 좋으면 다 좋다’가 아니라, ‘끝이 좋아야 전체 이야기가 좋다’는 것. 아리스토텔레스 시절부터 현재까지 유효하다. 모든 부분의 의미는 끝으로부터 재해석된다. 이것은 스토리텔링에 대한 이야기다. 이야기에 대한 이야기를 실컷 하고 나니, 훌륭한 이야기를 만나고 싶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서부지법 폭동 군중의 증오는 만들어진 것이다 [박현 칼럼] 1.

서부지법 폭동 군중의 증오는 만들어진 것이다 [박현 칼럼]

[사설] 김용현 궤변 속 계엄 찬성했다는 국무위원 밝혀내야 2.

[사설] 김용현 궤변 속 계엄 찬성했다는 국무위원 밝혀내야

분노한 2030 남성에게 필요한 것 [슬기로운 기자생활] 3.

분노한 2030 남성에게 필요한 것 [슬기로운 기자생활]

헌재에서 헌법과 국민 우롱한 내란 1·2인자 4.

헌재에서 헌법과 국민 우롱한 내란 1·2인자

문제는 윤석열이 아니다 [김누리 칼럼] 5.

문제는 윤석열이 아니다 [김누리 칼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