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비평가 조금 전까지 도덕과 정치에 대한 엄격·근엄·진지한 글을 쓰려고 앉아 있었다. 바로 그때, 의자 뒤에 위태롭게 쌓여 있던 책더미가 무너졌다. 서재라 부르기 민망한 나의 방은 갑작스러운 ‘책사태’로 정말 발 디딜 틈 없이 좁아졌다. 멍하니 그 광경을 보다가 충동적으로 칼럼 주제를 바꾸기로 결심했다. 마침 넷플릭스에서 <곤도 마리에: 설레지 않으면 버려라>를 재미있게 봤던 터다. 그래, 오늘은 세계를 매혹시킨 ‘정리 달인’ 곤도 마리에씨에 대해 쓰기로 하자. 구제불능 내 방에도 ‘곤마리상’의 은총이 필요하다구. 이미 일본에서 유명했던 곤도씨는 미국으로 가서 글자 그대로 신드롬을 일으켰다. 미국인들은 그녀 앞에서 “당신의 정리법으로 내 삶이 구원받았다”며 눈물 흘렸다. 집안 정리라는 건 단순히 청소를 하거나 여기 있던 걸 저기로 옮겨 놓는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결국 뭔가를 버려야 한다. 그런데 무엇을? 필요해서 산 것들이니 선뜻 버리기 힘든 건 당연하다. 추억이 담긴 물건이면 더욱. 곤도씨는 버리지 못하는 사람의 심리를 귀신같이 안다. 그래서 이렇게 말한다. “필요한지 아닌지를 가지고 고민하지 마세요. 그 물건을 만질 때 여전히 설레나요? 그럼 남겨두세요. 더 이상 설레지 않나요? 그럼 버려야 합니다.” 설레지 않으면 버려라! 이 말은 곤도 마리에를 상징하는 문장인 동시에 세계적 유행어가 됐다. 사실 그녀 이전에도 청소나 정리를 대행해주는 사람은 많았고, 그런 일은 하나의 비즈니스로 성립돼 있었다. 다만 곤도씨가 명백히 다른 점이 있다. 그리고 이 점들이 그녀를 독보적인 존재로 만들었다. 일단 곤도씨의 정리는 정중한 인사로 시작된다. 두 손을 공손히 모으고 앞으로 정리를 시작할 집을 향해 절을 한다. 그녀가 일본에서 처음 이 일로 돈을 벌기 시작했을 때부터 몸에 밴 습관이다. 쓸모없다고 가차 없이 내다버리는 태도가 아니라, 나를 즐겁고 행복하게 해준 사물에 고마움을 표시하는 의례다. 그 인사를 보고 즉각 떠오른 이미지는, 공장의 로봇에게 이름을 붙이고 아침마다 인사하던 과거 일본 노동자들의 모습이었다. 모든 사물을 의인화해야 직성이 풀리는 이런 일본적 범신론 혹은 애니미즘은 오늘날 세계를 호령하는 일본 캐릭터 상품의 뿌리일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고도로 기능적인 작업공간에서조차 일본인들은 특유의 정신주의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그런 모습이 미국인에겐 동양의 심오한 지혜처럼 느껴진 건 아닐까. 중요한 점은 ‘곤마리 정리법’이 건전하고 윤리적이란 인상을 준다는 것이다. 그녀는 이삿짐센터의 스태프처럼 거칠거나 사무적이지 않다. 그녀는 의뢰한 고객은 물론이고 고객의 물건 하나까지 살아 있는 생명처럼 소중히 다룬다. 그리하여 끝내 그녀는, 집안 정리라는 지루하고 힘든 노동을 숭고한 의례이자 즐거운 체험으로 여기게 만드는 데 성공한다. 그런데 이것이야말로 자본주의가 노동자에게 요구하는 최고의 미덕이 아닌가. 노동을 노동이 아니라 자기계발의 자유롭고 창조적인 경험으로 느끼기. 소진되지 않고 끝없이 새로운 업무에 적응하는 존재로 거듭나기. 어떤 사람들은 곤도 마리에 신드롬의 배경에 물질주의와 소비에 지친 사람들의 피로감과 성찰이 있고 그래서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미니멀 라이프’ 흐름과 부합한다고 말하지만, 실은 그 반대일 수 있다. “설레지 않으면 버려라”라는 말 이면에 숨은 메시지는 바로 “설렜다면 질러라”이기 때문이다. 버려야 새로 살 수 있다. 버린 것들이 바다거북의 코에 꽂히든 말든, 어쨌든 버리고 또 버려야 새것을 구매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게 수요가 창출되어야 시스템이 위기를 극복하고 다시 ‘정상화’될 수 있다. 또한 우리는 ‘미니멀 라이프’를 표방하는 세련된 상품의 가격표에 찍힌 숫자가 결코 미니멀하지 않다는 것도 잘 안다. 그러므로 “설레지 않으면 버려라”가 물질주의와 소비주의에 대한 반성이라는 것은 당치도 않다. 그것은 물질주의와 소비주의가 위기에서 만난 복음이며, 자본주의가 사랑하지 않을 수 없는 지상명령이다. 여기까지 쓴 뒤 다시 내 방을 둘러보았다. 자본주의는 둘째 치고 일단 내 방이 문제다. 곤도씨의 조언은 어쨌든 실용적이니까 따라 해보기로 한다. 그런데 아뿔싸. 설레지 않는 것부터 버리자면 제일 먼저 나를 쓰레기통에 던져야 되는구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