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찬 바람 불자 동네마트 앞에 미니트럭이 등장했다. 붕어빵집인 줄 알고 들어갔는데 호떡집이다. 호떡을 사며 혹시 붕어빵은 안 팔 계획인지 물었다. 아저씨는 고개를 젓더니 “에유, 반죽하면 어깨 나가요. 그거 못해서 이제 호떡이랑 핫도그만 팔아” 한다. 게다가 붕어빵이 다 프랜차이즈라서 떼고 나면 남는 게 없단다. 핫도그랑 호떡에 승부를 걸고 있으니 꼭 맛을 평가해달라고 아저씨는 신신당부했다. 세가지 사실에 놀랐다. 붕어빵에까지 자본 시스템이 침투했으며, 누런 주전자에서 수도꼭지의 물줄기처럼 흘러나오는 흰 반죽은 극한 어깨 노동의 산물이었고, 호떡 레시피도 계속 업데이트된다는 것. 세상에 쉬운 일 없다고 말하면서도 난 붕어빵 장사를 만만하게 여긴 듯하다. “퇴직하고 농사나 짓겠다”는 말이 농사에 문외한이어서 가능하듯, 관용구처럼 쓰는 “붕어빵 장사라도” 역시 무지에 기반한 소행이었다. 며칠 후 찬 바람 뚫고 ‘성 착취 피해 아동·청소년 오늘’ 전시회 토크콘서트에 갔다. 전시를 주최한 십대여성인권센터 조진경 대표는 피해자에 대해 양육자와 눈 맞추고 말을 배우지 못한 아이들, 그래서 처음엔 뭘 물어봐도 “싫어” “재수 없어” 두마디로만 답하는 아이들이었다고 표현했다. 어려서부터 가정폭력이나 학대를 당하던 아이들이 ‘살려고’ 집을 나와 먹여주고 재워주는 사람을 따르다가 피해를 입는 구조라는 것. 그런데도 아이들은 보호받기는커녕 ‘쉽게 돈 번다’며 비난받고 낙인찍힌다. 조 대표는 말했다. “아이들을 돌보는 것이 어렵지 않으냐고 물어보는데 현장을 모르는 행정부 어른들과 싸우는 게 더 어려워요.” 심지어 단속에 적발된 성 구매자가 억울함을 호소하러 센터에 직접 찾아오는 일까지 있다며 “어째서 구매한 놈이 당당한가” 분통을 터뜨렸다. 이날 내가 배운 것도 세가지다. 첫째, 소위 원조교제나 조건만남으로 불리는 십대 성매매는 동등한 입장에서 거래가 이루어진다는 착각을 주는데 한쪽이 취약한 처지이므로 성 착취라는 말이 합당하다. 둘째, 전세계는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성 착취 범죄에 대해 엄격하게 가해자를 처벌하고 피해자는 보호하는 추세로 발전하고 있는 데 반해 우리나라에서는 범죄라는 인식조차 미약해서 그들이 외려 당당하게 군다. 셋째, 성 착취라는 말이 일반화되면 “당당한 놈들도 바퀴벌레처럼 숨을 것”이며 성 착취도 사라질 것이다. 십이일간의 전시가 끝났다. 난 더 많은 이들이 보기를 바랐다. 교복과 모텔 가운이 나란히 걸린 쓸쓸한 사진을, ‘용돈 급히 필요한 여성분 경제적인 도움 드릴게요. 수수하고 담배 안 피우는 분 뵙고 싶어요’라는 성 구매자의 역겨운 메시지를, 아이들이 방탕하거나 불쌍하기만 한 게 아니며 알록달록 천개의 마음이 있음을 표현한 미술 작품을 같이 나누고 싶었다. 주변에 열심히 권했다. 너도 꼭 가봐. 왜 가야 하느냐고 물으면 뭐라고 해야 하나 고민했는데 아무도 묻진 않았다. 지금도 답지를 쓰는 중이다. ‘당장 붕어빵을 안 먹어도 붕어빵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아야 타인의 노동을 함부로 폄하하지 않을 수 있다. 성 구매자들이 “내 돈 내고 내가 한다는데”라며 죄책감 없이 취약한 아이들의 몸과 마음에 대한 통제권을 행사하려 들 수 있는 건, 피해자를 비난하고 구매자를 숨겨주는 ‘언어 관습’을 믿기 때문이겠지. 한마디로 공동체의 무신경함. 그렇게 우린 성 착취 산업의 당사자는 아니지만 성 착취 문화의 당사자가 된다. 찬 바람이 부는 건 막을 수 없지만 찬 바람을 막는 단단한 언어의 집을 지을 수는 있지 않을까. 당사자라서 가는 게 아니라 가서 보면 내가 당사자라는 걸 알게 될지도 몰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