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민주언론시민연합 이사장 한반도 비핵화가 진전되는 것인가, 아니면 답보 또는 후퇴하는 것인가. 결론부터 말하면 큰 틀에서 한반도 비핵화라는 큰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형이라 할 것이다. 언론이나 정치적 이해집단들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의 입이나 그 정부의 행동을 뒤쫓기에 바쁜데 이는 미시적 입장의 틀이라는 한계 속에 주로 갇혀 있다. 한·미 두 정부에서 나오는 비핵화에 대한 일련의 정보는 미시적인 것이 대부분으로, 한·미 두 나라가 갈등하는 것처럼 비친다. 트럼프 대통령의 헷갈리는 어법도 미시적 분석의 혼선을 부추기는 데 크게 기여하는 것은 물론이다. 그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사랑에 빠졌다고 말하면서도 대북 제재를 강화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 국내외 언론은 미국 정부의 관점에서 북한 책임론을 보도하는 관행을 되풀이하고 있다. 한국 언론의 정체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는 부분이다. 미국 정부나 전문가들이 과거 1990년대부터 추진된 한반도 비핵화 목표가 좌절된 것은 순전히 북한 책임이라는 식의 프레임 속에서 논평을 하는 것도 미시적 시각이 빚어내는 문제점이다. 그러나 연초 이후 벌어진 한-미, 북-미 관계를 거시적으로 보면 큰 그림이 그려지게 된다. 우선 북-미 간에도 비핵화 추진 공식에 대한 합의가 진행 중인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최종 목표까지 실천할 수 있는 추진 원칙과 방식이다. 북한이나 미국 모두 유엔 회원국이라는 점에서 상호평등의 조건에서 비핵화가 추진되어야 한다는 원칙은 단계적·동시적 추진이라는 것으로 좁혀지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란 핵협정 탈퇴에 이어 러시아와 맺은 ‘중거리 핵전력 조약’(INF)을 파기했는데 이런 일이 한반도 비핵화 추진 과정에서 재발하지 않게 강력한 장치를 만드는 데는 좀 더 시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두번째 거시적 관점에서 주목해야 할 한반도 비핵화 추진과 관련해 괄목할 만한 성과는 한반도에서 전쟁 위험이 사라진 것을 들 수 있다. 한반도 전쟁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변수 가운데 하나인 미국의 대북 선제공격 전략의 무력화가 바로 그것이다. 이는 문 대통령이 전쟁은 절대 안 된다는 전제 아래 한반도 군사적 충돌 및 전쟁 방지, 핵무기와 핵 위협 없는 한반도를 강조하면서 이뤄진 효과라 하겠다. 이상과 같은 거시적 성과 등은 물론 치밀한 한-미 정부 간 조율을 거친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트럼프가 얼마 전 한국 정부에 대해 자신의 사전 승인 운운한 발언은 국제 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을 훼손하면서 한국에서 남남 갈등을 유발해 문재인 정권의 대북 정책을 약화하는 빌미가 되고 있다. 문 대통령이 국내외에서 줄기차게 대북 제재 완화 필요성을 강조한 것은 북한과의 신뢰를 강화하기 위해 취해진 것으로 읽힌다. 프랑스, 영국 정상이나 아셈(ASEM·아시아유럽정상회의) 회원국들의 대북 강경 자세는 이미 예견된 것이었다. 한반도 비핵화와 관련해 한-미 간에 합의된 거시적인 대전제가 ‘한국은 북에 대해 립 서비스를 하는 것’에 그쳐서는 안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울어진 운동장인 한-미 군사동맹을 평등국가의 그것으로 정상화해야 한다. 이런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는데 여당이나 학계, 전문가, 시민단체 등은 아직도 움직일 기미를 보이지 않아 안타깝다.
이슈한반도 평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