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유레카] 이산가족 만남 / 박창식

등록 2015-09-09 18:29

1964년 10월9일 오후 4시55분, 일본 도쿄의 조선회관. 아버지 신문준씨는 딸 신금단의 이름을 불렀다. “아, 금단아.” 딸은 울음을 머금으며 “아바이” 그렇게 부르고 얼싸안았다. 1951년 1월 함경도 이원에서 12살 먹은 딸을 두고 집을 떠났다가 이산가족이 된 지 14년 만의 일이었다. 딸은 육상선수가 되어 1963년 신흥국 경기대회(GANEFO·가네포)에서 금메달을 따고 남쪽에 살아 계실 아버지를 보고 싶다고 말했고, 아버지는 딸을 만나기 위해 도쿄 올림픽이 열린 그곳으로 날아온 것이다.

아버지와 딸은 고작 7분간 만날 수 있었다. 북한 선수단이 일본을 떠나려고 니가타행 열차를 타기 직전이었다. 딸은 “어머니와 동생들은 다 잘 있어요”라고 했고, 아버지는 “그래, 나도 서울에서 잘살고 있다”고 했다. 아버지와 딸은 눈물범벅이 되어 말을 잇지 못했다. “어쩌면 좋아요….” 아버지도 딸의 두 손을 쥐고 허공만 쳐다보았다. 기차 시간이 되었다고 재촉하는 사람들한테 떠밀려 딸은 울부짖다가 “아바이, 잘 가오” 이 한마디를 남기고 차에 올라 멀어져 갔다. 우에노역으로 달려간 아버지는 역장실에서 기다리던 딸을 한번 더 안아보았다.(김연철, <냉전의 추억>)

신금단 부녀의 만남은 한국전쟁 뒤 첫 이산가족 상봉이었다. 아버지는 그때의 만남을 곱게 액자에 넣어두고 그리워하다가 1983년 12월 67살로 세상을 떴다. 도쿄 만남이 부녀에게 처음이자 마지막이 되고 말았다.

남과 북이 이산가족 만남 행사를 갖기로 모처럼 합의했다. 박근혜 정부 들어 두번째다. 이산가족 만남은 1985년 이래 조금씩 제도화되어왔다. 김대중 정부 때 6번, 노무현 정부 10번, 이명박 정부 2번 대면 만남이 실현되었다. 가족 이산을 단장의 아픔이라고 한다. 몹시 슬퍼서 창자가 끊어질 것 같다는 뜻이다. 이산가족의 아픔을 덜어주기에 이번 한차례 합의는 턱없이 부족하다. 만남 횟수를 늘려야 한다. 정부가 대화 능력을 발휘할 때다.

박창식 논설위원 cspcsp@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이재명 재판에 ‘상식적 의문’ 2가지…그럼 윤 대통령은? 1.

이재명 재판에 ‘상식적 의문’ 2가지…그럼 윤 대통령은?

트럼프와 정상회담 전에 문재인부터 만나라 [박찬수 칼럼] 2.

트럼프와 정상회담 전에 문재인부터 만나라 [박찬수 칼럼]

[사설] 이재명 1심 판결에 과도한 정략적 대응 자제해야 3.

[사설] 이재명 1심 판결에 과도한 정략적 대응 자제해야

‘세계 화장실의 날’ 누군가는 목숨 걸고 가는 곳이라니 [왜냐면] 4.

‘세계 화장실의 날’ 누군가는 목숨 걸고 가는 곳이라니 [왜냐면]

그 ‘불법’ 집회가 없었다면 [한겨레 프리즘] 5.

그 ‘불법’ 집회가 없었다면 [한겨레 프리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