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유레카] 최저임금 / 김회승

등록 2015-08-23 18:36

최저임금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은 경제학계의 오랜 논쟁거리다. 셀 수 없이 많은 실증 연구가 있지만 결론은 양쪽으로 갈린다. 고전학파는 “비숙련 노동자를 내쫓게 된다”며 최저임금 제도와 인상에 부정적이다. 가격(임금)을 올리면 수요(고용)가 주는 건 당연하다는 논리다. 반대론자들은 최저임금 인상이 고용을 줄인다는 근거는 미약하며, 소비성향이 큰 빈곤층의 소득과 소비가 늘어 전체 경제에 도움이 된다고 반박한다.

최저임금의 적정 수준도 논란거리다. 지난해 미국 의회예산국은 연방 최저임금을 10.1달러(현 7.25달러)로 인상하는 오바마 대통령의 ‘텐텐 법안’에 대한 두 가지 시나리오를 내놨다. 원안대로 10.1달러(인상률 39%)로 올리면 90만명의 소득이 늘고 일자리는 50만개가 줄어들며, 9달러(인상률 24%)로 인상하면 30만명의 소득이 늘고 일자리 10만개가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같은 보고서를 놓고, 오바마는 “빈곤층의 소득 증대가 입증됐다”며, 공화당은 “일자리 감소가 심각하다”며 제각각 목소리를 높였다.

우리나라의 최저임금 상승률은 꽤 높은 편이다. 워낙 낮은 수준에서 출발했기 때문이다. 2000년 이후 지금까지 연평균 상승률은 7%대로, 같은 기간 연평균 임금상승률(4%대)보다 높다. 하지만 풀타임 노동자의 연평균 소득과 비교하면 여전히 38% 수준에 불과하고, 평균소득이 최저임금에 미치지 못하는 노동자의 비율도 14.7%로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두번째로 높다.(OECD·2013년) 최저임금의 절대적·상대적 수준도 낮은 편이지만, 그런 수준조차 보장받지 못하는 노동자가 많은 것이다. 대개의 나라에서 최저임금 인상률은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에 소득분배 개선분을 고려해 결정한다. 우리나라로 치면, 4% 안팎이 성장의 몫이고 나머지는 재분배의 과정이란 얘기다. 한 사회에서 노동의 몫은 경제 원리가 아니라 정치가 결정하는 문제다.

김회승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동향분석센터장 hon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체포 말고 구속” 윤석열 역제안의 이유 1.

“체포 말고 구속” 윤석열 역제안의 이유

트럼프처럼 복귀하겠다는 윤석열의 망상 2.

트럼프처럼 복귀하겠다는 윤석열의 망상

윤석열 내란의 세계사적 맥락 [박노자의 한국, 안과 밖] 3.

윤석열 내란의 세계사적 맥락 [박노자의 한국, 안과 밖]

우리는 ‘멍청함’과 싸워야 한다 [왜냐면] 4.

우리는 ‘멍청함’과 싸워야 한다 [왜냐면]

[사설] ‘특검 찬성’ 의원 겁박 권성동, ‘백골단 비호’ 김민전 5.

[사설] ‘특검 찬성’ 의원 겁박 권성동, ‘백골단 비호’ 김민전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