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년 미국 테네시주는 부재자투표를 대체하는 새로운 사전투표(early voting) 제도를 도입했다. 부재자투표는 미리 신고를 한 부재자만 선거일 이전에 투표할 수 있지만 사전투표는 누구든지 투표를 할 수 있었다. 테네시주의 결정은 선거사에 한 획을 그었다. 이후 ‘투표는 선거일에 하는 것’이란 개념이 완전히 바뀌었다.
그 뒤 사전투표제를 채택한 주는 계속 늘어나 2014년 중간선거 때엔 50개 주 가운데 36개 주에서 이 제도를 실시했다. 사전투표를 한 유권자 비율은 2000년 대통령선거 때는 전체의 16%에 불과했지만 2004년엔 22%, 2008년 대선 때엔 30.6%로 증가했다. 전체 유권자의 3분의 1 정도가 사전투표를 한 셈이다.
사전투표제가 급속히 확산한 데엔 손쉽게 투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유권자들의 선거 참여를 확대하겠다는 뜻이 담겨 있다. <뉴욕 타임스>는 사전투표제 논란이 한창이던 2008년 사설에서 “투표를 하루에, 그것도 15시간 안에 하라는 건 펀치로 기표용지에 구멍을 내던 과거 방식처럼 시대에 뒤떨어진 요구”라며 이 제도를 지지했다.
논란은 여전히 있다. 그중 하나는 ‘사전투표제가 공화, 민주 양당 중 누구에게 유리한가’라는 점이다. 젊은층과 흑인·히스패닉·아시안 등 비백인계 지지를 많이 받는 민주당에 유리할 것이라는 게 일반적 예상이었다. 그러나 2014년 중간선거 때 사전투표 성향을 간접 분석해보니 꼭 그렇지만도 않았다. 조지아·노스캐롤라이나에선 민주 성향 유권자들이 많이 참여했지만, 콜로라도와 플로리다에선 공화 성향 유권자들이 오히려 더 많이 사전투표소를 찾았다.
우리나라에선 2013년 4·24 재보궐선거에서 처음으로 사전투표가 도입됐다. 29일 열리는 4곳의 국회의원 재보선 사전투표도 지난 주말 실시됐다. 투표율은 평균 7.6%다. 사전투표의 궁극적인 목적은 정치참여 확대다. 전체 투표율이 올라야 사전투표도 의미가 있다.
박찬수 논설위원 pcs@hani.co.kr
이슈4·29 재보선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