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제에서 기자회견이 갖는 의미는 남다르다. 국회 출석을 하지 않는 대통령은 신문·방송의 여과 없이 자신의 목소리를 직접 시민에게 전할 수 있다. 시민은 자신이 뽑은 대통령이 무슨 생각을 하고, 기자의 질문에 어떤 태도를 취하는지 직접 볼 수 있다. 그래서 1913년 3월 우드로 윌슨이 백악관 집무실에서 첫 회견을 연 이후, ‘기자회견’은 대통령과 시민을 연결하는 가장 중요한 소통수단이 됐다.
윌슨 대통령의 첫 기자회견은 비보도(오프 더 레코드)였다. 이 관행은 1950년대까지 이어졌다. 이건 대통령에게 매우 유리했다. 1950년 해리 트루먼은 기자회견 중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매카시 상원의원은 소련의 보물”이라고 말했다가 문제가 될 것 같자 기자들에게 발언 삭제를 요청했다.
기자회견이 긴장감에 휩싸인 건 1960년 존 에프 케네디 대통령 때부터다. 케네디는 처음으로 기자회견을 생방송으로 진행했다. 마침 1960년 5월 미 공군의 유투(U2)기가 소련 상공에서 격추된 뒤 처음엔 스파이 비행이 아니라고 기자들에게 거짓 브리핑한 게 들통나면서 기자단과 백악관의 관계가 싸늘해졌다. 케네디와 기자들은 날 선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았고, 텔레비전 시청률은 치솟았다. 그 이후 생방송 기자회견이 대통령 회견의 전형으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각본 없는 기자회견’은 대통령에겐 정치적 부담이 되기도 한다. 기자회견 싫어하기로 유명했던 조지 부시(2001~2009)는 취임 첫 2년간 7차례만 단독 회견을 했다. 취임 첫 2년간 29회의 단독 회견을 한 빌 클린턴이나, 버락 오바마(첫 2년간 21회)에 비해 현저히 적다. 그나마 부시는 임기 말로 갈수록 기자회견 횟수를 많이 늘렸다.
박근혜 대통령이 취임 이후 2년간 한 기자회견은 12일의 신년 회견까지 단 두 차례다. 1년에 한 번꼴이다. 횟수도 적지만, 긴장감도 없다. 이래선 대통령 ‘쌩얼’을 그대로 드러내는 기자회견의 묘미가 사라진다.
박찬수 논설위원 pc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