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내가 체감 못하는 이유는

등록 2014-12-31 18:45수정 2014-12-31 20:30

2010년 어느 겨울날 서울 종로5가에 위치한 광장시장. 한겨레 자료사진
2010년 어느 겨울날 서울 종로5가에 위치한 광장시장. 한겨레 자료사진
[유레카]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을 3만807달러로 추정했다. 세계 24위다. 지난해엔 2만8738달러(25위)였다. 현대경제연구원도 비슷한 전망을 내놨다.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전년(2만6205달러)보다 7%가량 증가한 2만8000달러 안팎인데, 해마다 1800~2000달러 증가해온 추세로 보면 올해는 3만달러를 넘어설 것이란 분석이다. 1인당 국내총생산과 국민총소득은 산출 방법이 다소 다르지만 수치상 별 차이는 없다.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을 원화로 계산하면 3000만원, 4인 가구라면 1억2000만원에 이른다. 절대금액도 증가율도 체감도와는 큰 차이가 난다. 가장 큰 이유는 환율 효과다. 1인당 국민총소득은 한 해 동안 가계와 기업, 정부가 벌어들인 돈을 다 합쳐 인구수로 나눈 것이다. 달러 기준이어서 원화 가치가 오르면 그만큼 국민총소득도 상승한다. 지난해 적용한 평균 원-달러 환율은 1052원으로 전년(1095원)보다 43원이 낮다. 가만히 앉아서 4% 상승 효과를 본 셈이다.

가계보다는 기업 비중이 커지는 것도 주된 이유다. 한국은행 통계(2013년 기준)를 보면, 국민총소득에서 가계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61.2%다. 미국은 74%, 영국 69%, 일본은 64%가량이다. 나머지는 기업과 정부로 흘러들어간 돈이다. 국민총소득 대비 가계소득 비중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75년(79.2%) 이후 줄곧 하락했다.
김회승 한겨레경제연구소 연구위원
김회승 한겨레경제연구소 연구위원
반면 기업소득 비중은 같은 기간 9.3%에서 25.7%로 3배가량이나 커졌다. 10대 그룹 계열 상장사들의 사내유보금이 500조원을 웃돌고 있는 현실이 그 결과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해 새해 벽두에 “2017년엔 1인당 국민소득이 3만달러를 넘어설 것”이라고 호언했다. 목표를 2년이나 앞당겨 조기달성하는 것인데, 씁쓸하고 허망할 뿐이다.

김회승 한겨레경제연구소 연구위원 hon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은 왜 이리 구차한가 1.

윤석열은 왜 이리 구차한가

윤석열-김용현 “의원 아닌 요원”, SNL 찍나 [1월24일 뉴스뷰리핑] 2.

윤석열-김용현 “의원 아닌 요원”, SNL 찍나 [1월24일 뉴스뷰리핑]

윤석열 ‘바보 전략’인가 ‘바보’인가 3.

윤석열 ‘바보 전략’인가 ‘바보’인가

문제는 윤석열이 아니다 [김누리 칼럼] 4.

문제는 윤석열이 아니다 [김누리 칼럼]

[사설] 김용현 궤변 속 계엄 찬성했다는 국무위원 밝혀내야 5.

[사설] 김용현 궤변 속 계엄 찬성했다는 국무위원 밝혀내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